뉴욕코리아    Boston    SF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Culture
USA CULTURE
USA 전시소식
USA 공연소식
USA 문화예술뉴스
미국영화소식
공모/컨테스트 공지
문학뉴스
추천 신간도서
새 음악/음반/벨소리
중견초대작가 LA갤러리
사진작가 이천
Fine Art
photography
Digital Art
전문가초대칼럼
[초대시단] 시가 있는 아침
[poem]English Poem
멀티미디어 영상작품
정다운 우리가곡
전문 무용가 칼럼
예술의 이해와 감동
USA 유명갤러리탐방
USA유명갤러리 탐방
공연.전시행사모습
USA예술문화행사포토
티켓알아보기
티켓예매처 바로가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Culture > USA CULTURE > 추천 신간도서
추천 신간도서
고요가 아니다-전형철 시집. 천년의 시작.시작시인선 0159
작성자: 뉴욕코리아 조회: 2968 등록일: 2014-01-24

 

 

                       고요가 아니다-전형철 시집

 

                                                                    (시작 시인선 0159)

 


 

 

시작시인선 0159 전형철 시집 [고요가 아니다]

고요가 아니다/ 전형철/ (주)천년의시작/ B6(신사륙판)/ 122쪽/ 시작시인선(세트 0159)/ 2014년 1월 29일 발간/ 정가 9,000원/ ISBN 978-89-6021-199-5 04810/ 바코드 9788960211995 04810

 

■■ 신간 소개 (보도 자료 겸 출판사 서평)

 

전형철 시인의 첫 신작 시집 [고요가 아니다]가 (주)천년의시작에서 2014년 1월 29일 발간되었다. 전형철 시인은 충북 옥천 출생으로, 2007년 [현대시학]을 통해 등단하였으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수료 후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초빙강의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형철 시인의 [고요가 아니다]는 시인 자신의 운명적인 고독과 상처에 대한 절절한 기록이면서 그를 통해 단련된 한 섬세한 영혼의 혁명적 인고를 표백한 시집이다. 전형철의 시적 주체는 고독을 숙명처럼 안고 있다. 그의 고독을 가중하는 것은 뿔뿔이 흩어진 가족과 실패한 사랑이다. 고향은 그에게 그리움의 대상인 동시에 저주받은 땅으로 기억되고, 현실의 사랑은 그에게 상처와 불통의 기억을 남긴다. 상처로부터 솟아 나오는 그의 문장은 벌어진 상처가 쓰라릴수록 한결 단단해진다. 저 단단한 고요가 역설적으로 그의 상처의 깊이를 짐작케 한다. 이 상처의 깊이가 전형철식 혁명이 발원하는 장소다. 전형실이 생각하는 혁명은 거창한 것이 아니라 욕망을 거둘 줄 알고 그리움을 잘라 낼 줄 알고 성급한 고백을 숨길 줄 알고 무거운 침묵을 드리울 줄 아는 것이다.

 

■■ 추천사

 

자신의 몸이 속해 있고 매여 있는 곳에 그의 정신과 마음이 머무르지 못하므로 전형철의 시적 주체는 고독을 숙명처럼 안고 있다. 그의 고독을 가중하는 것은 뿔뿔이 흩어진 가족과 실패한 사랑이다. 고향은 그에게 그리움의 대상인 동시에 저주받은 땅으로 기억되고, 현실의 사랑은 그에게 상처와 불통의 기억을 남긴다. 상처로부터 솟아 나오는 그의 문장은 벌어진 상처가 쓰라릴수록 한결 단단해진다. 저 단단한 고요가 역설적으로 그의 상처를 짐작케 한다. 그의 시를 읽다 보면 어느새 잊고 있던 오래전 상처가 욱신거림을 느끼게 된다. 묵직한 통증을 안고 전형철의 시는 천상과 지상을 자유롭게 오간다. 새와 바람이 되어 자유롭게 천상을 활보하다 바닥으로 한없이 가라앉아 독(毒)을 새기기도 한다.

 

이경수(문학평론가,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너무나 분명했던 인생의 세부들이 너무나 불분명한 인생의 전체에 의해 까마득히 지워져 버리는 것을 보면, 이렇듯 다단한 상처의 편린들은 각오로 새기고, 저주로 칠갑을 하지 않으면 붙들 수조차 없는 세목들이리라. 속죄가 새롭다 하겠는가? 무속이 낯설다고 하겠는가? 염원과 저주가 다른 이름이되 한 몸인 것처럼, 전형철의 시는 저주를 견디고 염원을 살고자 한다. 이물들의 교호와 죄의 경신과 함께. 그렇다고 그의 시에서 이물과 죄와 저주와 염원만을 본다면 이는 잘못이다. 사진의 마지막 피사체는 웃고 있는 얼굴을 마주하고 있는 다른 얼굴이며 그러므로 칠갑을 한 언어들 저편으로 물러나 앉는 것은 시를 쓰는 자의 마지막 미덕이다. 시와 세상과 시인의 얼굴이 궁금하다면 방법은 이것뿐이다. 저 검은 칠 너머를 보는 것.

이현승(시인, 시작시인선 기획 위원)

 

■■ 저자 약력

전형철 충북 옥천 출생. 2007년 [현대시학]을 통해 시 등단.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박사 수료. 서울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초빙강의교수.

 

■■ 시인의 산문

시는 전염과 전이이다. 나의 고통이 당신에게 똑같은 고통일 수 없다. 나의 병은 전염력이 있으나 그 증상은 같지 않기를 꿈꾼다. 내 시에 빈 곳이 많았으면 한다. 그 빈 곳으로 당신의 숨결이, 당신의 아픔이, 당신의 언어가 채워졌으면 한다.

나에게 세상은 여전히 미결정이고 불확정이다. 그래서 나는 스스로를 세상의 미결수(未決囚)라 부른다. 다시 운명이라는 것을 점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사람의 한 생(生)이, 오지 않을 미래가 그토록 명징하게 빛났으면 좋겠다. 비탄의 고요를 견디는 일은 이 별에서 할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춤이다. 예지의 촉수를 자르지는 않을 것이다. 상처를 감추는 일은 야수가 발톱을 숨기는 본능과 같다.

그리고 세상의 단 한 사람에게만 용서를 빌고 싶다. 내가 있어 당신이 살았다. 아니 이제 생각해 보니 당신이 있어 내가 살았다. 당신을 속이거나 기만하는 것이 아니다. 나의 말이, 나의 떨림이, 나의 흐트러진 삶이 당신의 얼마 남지 않은 생을 담보 잡게 할 수는 없다. 미안하다.

이 땅에 단풍과 눈이 사라질 때가 오면 나도 당신과 함께 부재할 것이다. 없음으로 당신과 나는 하나일 것이다. 오늘을 탈환하고 있을 당신에게 안부를 묻는다. 끝내 당신은 여기에 없을 것 같다.

전형철

 

■■ 차례

시인의 말

 

제1부

012 기네스

013 여시아문(如是我聞)

015 매복의 거처

017 재의 날

019 나쁜 피

020 시월

023 불수의적 정체(停滯)

025 갑골(甲骨)

026 반려

028 덫

029 비가 계속되는 동안 세상은 조금 평등해진다

030 독

032 젖은 지도

033 불꽃놀이

 

제2부

036 밤의 가스파르

038 이상한 소문

039 그믐

040 둔갑술

042 뱅이

044 직립

045 내력

047 거북이알의 시간

048 금요일의 지구라트

050 31일

051 낭만적 동결(凍結)

053 아스타 코메트

054 독주(獨奏)

055 분열의 율법

 

제3부

058 이물교혼(異物交婚)

060 갑충(甲蟲)

062 라인댄스의 기원을 찾아서

064 도형賦

066 어진사람인발(儿)―용국 형에게

057 개명(改名)

069 저녁 훈련소

070 파투

072 당신이라는

074 꼬리

076 적경

078 황홀 거울

079 자라

080 동대문 접골원

 

제4부

084 불씨

085 수풀에서 빛을 보다

087 당신의 북쪽

088 시간의 분재기

090 세드나

093 오페라

094 레인 스트라이크

096 매포역

097 구멍과 꼭짓점

098 삼선 파르테논―조 선생님께

099 물안개

100 황홀 거울 2―창귀(倀鬼)

102 그녀는 모른다

 

해설

104 이경수 검은 무당의 춤

 

 

 

펴낸곳 (주)천년의시작/ 주소 (100-380) 서울시 중구 동호로27길 30, 413호(묵정동, 대학문화원)/

전화 02-723-8668/ 팩스 02-723-8630/ 이메일 poemsijak@hanmail.net/ 홈페이지 www.poempoem.com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yorkkorea를 트위터에서 팔로우하기

인쇄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303
[시집] 시동인 미루 01호 - 미루...
LA코리아 2330 2023-11-28
302
[시집] 초록을 읽다 - 제3회 국민일보신춘문예회 공동시집...
LA코리아 1869 2023-11-28
301
[시집] 두고 온 아이 - 배세복 시집 (제1회 선경작가상 수상시집)...
LA코리아 2103 2023-11-27
300
[시집] 나의 아름다운 캐릭터- 하기정 시집(제4회 선경문학상 수상시집)...
LA코리아 1917 2023-11-27
299
[시집] 담양, 인향만리 죽향만리 - 조선의 시집...
LA코리아 1950 2023-11-02
298
[시조집] 그 사랑을 내가 쓴다 - 황정희 시조집...
LA코리아 1553 2023-11-02
297
[산문집] 줌, 인 앤 아웃(ZOOM, IN & OUT)- 김세영...
LA코리아 1867 2023-10-22
296
[시집] 가령 무제의 입장에서 - 송병호 시집...
LA코리아 1813 2023-10-18
295
[시집] 벌의 별행본 - 권 순 시집...
LA코리아 1714 2023-10-13
294
[소설] 강대선 장편소설 -대륙의 천검...
LA코리아 1811 2023-10-13
293
[시집] 아홉 그루의 자작나무가 불타고 있네 -오대환 시집...
LA코리아 1801 2023-10-07
292
[시집] 즉석 질문에 즐거울 락- 김송포 시집...
LA코리아 1943 2023-09-27
291
[시집] 오늘을 여는 건 여기까지-염민숙 시집...
LA코리아 1574 2023-09-13
290
[시집] 자전거 바퀴 -양수덕 시집...
LA코리아 1717 2023-08-21
289
[소설] The Rise of New Korea(더라이즈) - A.I, 한반도에서 기적을 일구다...
LA코리아 1479 2023-08-18
288
[계간] 상상인 문예지 통권 06호...
LA코리아 3291 2023-08-14
287
[연간집] 워싱턴윤동주문학 2023. Vol.03- 워싱턴윤동주문학회 지음...
LA코리아 3440 2023-08-03
286
[시집] 고요는 어떤 방인가-김근열 시집...
LA코리아 1517 2023-08-03
285
[시집] 계보의 강, 그 얼음 성 - 송경애 시집...
LA코리아 1783 2023-07-28
284
[시집] 꽃인 줄 모르고 핀다-박해달 시집...
LA코리아 1938 2023-07-12
283
[시집] 우원호 시전집 (시인광장 시인선 05)...
LA코리아 1864 2023-07-11
282
[동시집] 달을 세 개나 먹었다 - 김진수 동시집...
LA코리아 1838 2023-07-04
281
[시집] 아직 도달하지 않은 입의 문장 - 조선의 시집...
LA코리아 2000 2023-07-02
280
[시집] 찻잎만 보아도 마음은 이미 꽃이다- 강금이 시집...
LA코리아 1689 2023-06-25
279
[평론] 착란의 순간과 중첩된 시간의식- 이구한 문학평론집...
LA코리아 1739 2023-06-10
278
[시집] 그 자리에 네가 피었다 - 오미아 시집...
LA코리아 1889 2023-06-09
277
[시집] 기차는 우리를 같은 곳에 내려놓지 않았다 - 송영신 시집...
LA코리아 1939 2023-06-04
276
[시집] 낮술은 너무 슬퍼서 - 안원찬 시집...
LA코리아 1922 2023-05-24
275
[시집] 첫눈이라는 아해 - 권애숙 시조집...
LA코리아 1836 2023-05-24
274
[시집] 우리 손 흔들어 볼까요 - 이둘임 시집...
LA코리아 1887 2023-05-16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회원정보
닉네임 뉴욕코리아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뉴욕코리아 (_admin_)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고요가 아니다-전형철 시집. 천...
글 작성자 뉴욕코리아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센터문의, Tel: 대표 201-674-5611

E-mail: lakorea77@gmail.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LA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LA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