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코리아    Boston    SF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Culture
USA CULTURE
USA 전시소식
USA 공연소식
USA 문화예술뉴스
미국영화소식
공모/컨테스트 공지
문학뉴스
추천 신간도서
새 음악/음반/벨소리
중견초대작가 LA갤러리
사진작가 이천
Fine Art
photography
Digital Art
전문가초대칼럼
[초대시단] 시가 있는 아침
[poem]English Poem
멀티미디어 영상작품
정다운 우리가곡
전문 무용가 칼럼
예술의 이해와 감동
USA 유명갤러리탐방
USA유명갤러리 탐방
공연.전시행사모습
USA예술문화행사포토
티켓알아보기
티켓예매처 바로가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Culture > USA CULTURE > 추천 신간도서
추천 신간도서
지문을 수배하다/조재형 시집 (지혜사랑 65)
작성자: 뉴욕코리아 조회: 3173 등록일: 2012-10-10

 

                       

 

                       조재형 시집- 지문을 수배하다

 

 

 

   조재형 시인은 1963년 전북 부안에서 태어났고, 2011년 {시문학}으로 등단했으며, ‘함시동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검찰청 수사관으로 16여년간 재직했고, 현재 전북 부안에서 법무사의 일로 매우 분주한 나날들을 지내고 있다. {지문을 수배하다}는 그의 처녀시집이며, 이 시집은 두 개의 시선의 마주침에 의해서 그 힘찬 역동성을 얻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첫 번째는 무위자연으로서의 가장 성실한 자의 삶에 대한 예찬이고, 두 번째는 현대 자본주의의 삶에 대한 비판이다. 어머니와 아버지와 당숙과 지문이 없는 농부들과 지체장애인들의 삶은 전자의 예에 해당되고, 사채업자와 악덕상인과 관료들과 정치인들과 매춘부들의 삶은 후자의 예에 해당된다. 그는 현대 자본주의의 삶에, 마치 [피에타]의 김기덕 감독처럼, 가장 날카롭고 예리한 비판의 칼날을 들이대게 되고, 그 결과, 상호간의 사랑과 행복의 싹이 자라나는 공동체 사회를 꿈꾸게 된다. {지문을 수배하다}는 가장 정직하고 성실한 삶을 살아왔던 ‘지문이 없는 사람들’에게 바쳐진 시집이며, 진실에 의해서 진실의 집을 짓고, 오직 진실의 삶을 살고자 하는 조재형 시인의 절규라고 하지 않을 수가 없다.

 

등록금이 바닥난 나는 대부업자를 찾는다/ 살인적 금리로 급전을 수령한다/ 원금에 이자를 보태 재대출하는 꺾기 수법에/ 이자는 원금의 두 배로 폭풍 성장한다// 갖은 강박에 유흥가 종사원으로 매매된다/ 알탕갈탕한 전세 보증금이 인질로 잡혀간다/ 영문을 모르는 식솔들이 길바닥에 나앉는다// 아직 날것인 나는 아파트 옥상에서 자진 폐업한다/ 사채 덕분에 사체가 된 나/ 사회면 머리기사로 부음을 대신한다/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서 곧 삭제된다// 모두들 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다/ OECD 조국은 대박 뉴스가 늘어 간다/ 일군의 시인들은 아름다운 강산이라고 강변한다// 묵시의 눈가림이 연속 탈출을 엄호한다/ 공화국의 주인을 자임하는 어느 누구도/ 함부로 타인의 죽음을 슬퍼하지 않는다 —「사채공화국」 전문

 

글구멍이 막혀 살아온 농투성이, 말년에 인감을 내러 면사무소를 찾았다. 직장에서 말소된 자식의 생계를 복원해 주려 남은 천수답을 내놓은 것,// 맨몸으로 황무지를 개간하랴 중노동이 열손가락을 갉아먹었다. 십지문이 실종되었다고 민원은 반려되었다. 고추 먹은 소리로 삿대질 해본들 소용이 없다.// 몰락한 가문의 정본으로 태어난 노인, 가난을 대대로 복사한 탓에 사본 취급을 받으며 살았다. 이면지처럼 남의 집 헛간을 전전하며// 노인을 진본으로 탁본한 곳은 땅이다. 논배미 밭고랑 갈피마다 삽과 괭이로 밑줄을 그었다. 땀방울로 간인한 흔적들이 그를 소명한다.// 팔순 고개 완등하고 유효기한이 다해가는 상노인. 올봄도 황소가 끄는 쟁기에 첨부되어 논두렁으로 출석했다. 부록으로 어깨에 멘 삽날이 지문처럼 문드러져 있다.

 

----[지문을 수배하다] 전문

 

배냇저고리 한 벌로

수의까지 삼는

그의 검소함을 따를 수 없다

햇살을 주식으로 하되

야식으로 별빛을 선호한다

한 달에 보름, 달빛을 섭취하는 그는

특식으로 단비를 즐긴다

자리의 높낮이를 따지지 않는다

진 데와 마른데 음지와 양지를 가리지 않는다

시골 담장이건 빌딩숲이건

자투리땅이면 보금자리를 튼다

대물림으로 씨족 간 다툼을 남기지 않는다

지상권을 빌미로 이웃 화초와 담을 쌓지 않는다

내가 이를 표절하고자 하나

감히 베낄 수 없다

 

----[민들레] 전문

그는 해맑은 소년이다. 크리스마스이브에 내리는 함박눈처럼 맑고 따뜻한 눈빛을 가지고 있다. 사정기관에 근무하다 보면 몸과 마음이 척박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 그러나 오랫동안 몸을 담은 검찰수사관 출신임을 전혀 읽어낼 수 없다. 시가 밥이 되느냐 돈이 되느냐, 뒤늦게 웬 시를 쓰느냐, 그곳에서 어떻게 이런 시가 나오느냐는 등, 불현듯 등단했을 때 내게 귀띔한 선배 시인들의 격려나 충고의 말씀이 떠오른다. 그와 진한 동지애를 느끼는 부분이다. 시를 갈구하는 마음은 그쪽 계통에 재직하고 있는 분들이 더욱 많으리라. 조재형 시인의 시는 그들의 애환을 소년의 눈으로 다독인다. 재직할 때 붙여진 독사란 별명은 틀린 말이다.

--박정원 시인

 

‘지구의 축이 기우뚱거리는 건/ 하늘에 매달리는 민원이 폭주하는 탓’임을 보여주는 증거들로 가득 찬 곳간을 열고 시인 조재형이 ‘오곡백과를 상재’하는 마당이다. ‘병약한 사과나무 한 그루’ 들을 돌보아 그 어깨에서 ‘자음과 모음을’ 받아내는 풍요한 가난의 결과물들. 착하고 성실한 품성을 하대하는 야비한 세상의 ‘바닥’을 써레질하여 파종한 ‘聖 배추의 잔혹사’. 새벽 한기와 해으름 그림자로 받쳐낸 ‘오래된 가난’이 그의 연장이라고 읽는다.

 

그에게는 러닝머신, 게시판, 식칼, 폐가의 문패, 세무서 담장 곁 은행나무 한 그루도 ‘깨물면 모두가/ 아픈 손가락’이다. 그것들이 ‘변방에 눌러앉은 어머니’나 ‘회칼잽이 사형수’나 ‘시계를 찬 전사자 유해’나 ‘수능시험 치르는 여린 딸’의 그림자를 가졌기 때문이다.

만물에서 스며 나오는 연민을 받아 적는 일이 과연 시인의 첫 업무이나, 이렇듯 나직나직 꼼꼼하기 또한 쉬운 일이 아니니, 흩어진 ‘지문을’ 찾는 수사관의 섬세한 이마와 같다. ‘푸른 팔뚝을 번쩍 치켜들’고 ‘진지를 구축’하기 시작한 시의 ‘유복자’에게 아비의 부활은 변개치 못할 신앙이겠다.

----조정 시인

 

시인의 진단에 따르면 2012년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은 ‘사채공화국’이다. ‘대부업자’, ‘살인적 금리’, ‘급전’, ‘꺾기 수법’ 등의 어휘에 담긴 위태로움이 가파르다. 대다수 국민들은 하루하루를 살아내기가 무척 버겁다. 많은 이들이 ‘매매’되고 ‘인질’로 잡히고 ‘길바닥’에 나앉고 마침내 ‘자진 폐업’을 하게 되는 오늘의 현실은 공포다. 수많은 ‘자살’과 ‘죽음’의 물결 속에서 우리 모두는 “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다.” “사회면 머리기사로 부음을 대신”하겠지만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서 곧 삭제”될 것을 잘 알기 때문이다. “함부로 타인의 죽음을 슬퍼하지 않는” 세상은 암울하다. 영화 [피에타]에서 김기덕 감독이 보여줬던 불편한 진실의 세계가 조재형의 시 「사채공화국」에서 “사채 덕분에 사체가 된 나”라는 절묘한 어구로 재현되고 있는 것이다.

----권온 문학평론가

 

 

 

지혜사랑 65번 조재형 시집 {지문을 수배하다}, 도서출판 지혜, 4X6 양장본 값 10.000원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yorkkorea를 트위터에서 팔로우하기

인쇄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277
[시집] 기차는 우리를 같은 곳에 내려놓지 않았다 - 송영신 시집...
LA코리아 2027 2023-06-04
276
[시집] 낮술은 너무 슬퍼서 - 안원찬 시집...
LA코리아 2019 2023-05-24
275
[시집] 첫눈이라는 아해 - 권애숙 시조집...
LA코리아 1927 2023-05-24
274
[시집] 우리 손 흔들어 볼까요 - 이둘임 시집...
LA코리아 1996 2023-05-16
273
[소설]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 손용상 중 단편 소설 제8집...
LA코리아 1928 2023-05-11
272
[시집] 노루귀 - 나석중 시선집...
LA코리아 1575 2023-04-28
271
[시집] 지니야, 사랑도 네가 해줄래 - 김윤아 시집...
LA코리아 1925 2023-04-27
270
[시집] 해피엔딩- 한창옥 시집 (포엠포엠)...
LA코리아 2056 2023-04-17
269
[시집] 연연연... 바람이 숨 죽이자 꽃이 되어 돌아왔네- 손용상 시집...
LA코리아 1490 2023-03-28
268
[시집] 펼칠까, 잠의 엄브렐러 -최현선 시집...
LA코리아 1837 2023-03-18
267
[계간] 계간 K-Writer(케이라이터)(2022년 겨울호 Vol 1) (창간호)...
LA코리아 1624 2023-03-14
266
[시집] 할 말은 많으나 이만 줄입니다 - 원춘옥 시집...
LA코리아 2102 2023-03-02
265
[계간] 상상인 문예지 5호. Vol 05 (2023년 1월)...
LA코리아 3464 2023-02-07
264
[시집] 그런 약속을 기억하고 있는 것 - 나영채 시집...
LA코리아 2052 2023-01-10
263
[계간] 포엠포엠 2022 겨울호 (vol.96)...
LA코리아 1577 2023-01-10
262
[연간집] 문학과 시드니 (2022년 제2호)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
LA코리아 1507 2022-12-29
261
[시집] 철원이, 그 시정마 -장한라 시집...
LA코리아 1828 2022-12-25
260
[계간] <한솔문학> 제8호 -글로벌 종합문예지...
LA코리아 2157 2022-12-22
259
[시집] 안개의 저쪽 - 김은옥 시집 (시작시인선)...
LA코리아 1500 2022-12-14
258
[시집] 정오에게 레이스 달아주기 - 안은숙 시집 (달을쏘다)...
LA코리아 1764 2022-12-14
257
[시집] 별을 기르다 - 허표영 시집 (시산맥)...
LA코리아 1993 2022-12-14
256
[연간집] 해시 - 선경해시문학 02호...
LA코리아 2186 2022-11-30
255
[시집] (제3회 선경문학상 수상작) 잘디잘아서 - 이돈형 시집...
LA코리아 2922 2022-11-29
254
[시집] 새로이 고운 덫을 놓고 햇볕을 얹어 주었다 - 조헌주 시집...
LA코리아 1927 2022-11-17
253
[시집] 순간이라는 말, 뜨겁고 멀다 - 고우리 시집...
LA코리아 2024 2022-11-17
252
[시집] 그땐 내가 먼저 말할게 - 강일규 시집...
LA코리아 2057 2022-11-14
251
[산문집] 새에 이르는 밤 - 박 잎 산문집...
LA코리아 2011 2022-11-03
250
[시집] 기억 어디쯤 심어 놓은 나무- 노금선 시집...
LA코리아 2189 2022-10-30
249
[시집] 이쪽도 그쪽의 먼 별빛이었을 것이다 - 이영은 시집...
LA코리아 2398 2022-10-29
248
[평론] 오래된 울음 -이진환 시집...
LA코리아 2430 2022-10-22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회원정보
닉네임 뉴욕코리아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뉴욕코리아 (_admin_)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지문을 수배하다/조재형 시집 (...
글 작성자 뉴욕코리아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센터문의, Tel: 대표 201-674-5611

E-mail: lakorea77@gmail.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LA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LA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