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문학과 시드니 (2022년 제2호)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
작성자: LA코리아
조회: 1507 등록일: 2022-12-29
문학과 시드니 (2022년 제2호)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
(곰곰나루)
책소개 호주 한인들의 종합문예잡지(연간지) ‘문학과 시드니’ 제2호. 호주의 한인 인구는 거의 20만에 육박하고 있다. 이중에 반 정도가 시드니에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20세기 후반부터 시드니를 중심으로 소규모의 모국어문학 매체들이 있어 왔는데 2021년 그 매체 다수의 대표들이 모여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를 결성해 호주 한인들의 종합문예지를 표방하고 2021년 10월 ‘문학과 시드니’를 창간했고, 이번이 제2호다. 이번 제2호에는 시와 그림이 있는 권두언(김오/백경)을 시작으로 시(김문 등 13인, 총 26편), 수필(김마리아 등 13편), 영역시(김애나), 단편소설(손성훈), 동화(김대철) 등 창작물들과 서평 2편, 화보로 꾸민 에세이(김지환, 이수범) 등을 실었다. 또한 모국 문인을 비롯해 호주 밖 재외 문인들과도 함께 해 캐나다의 반수연(소설), 미국의 한혜영(시), 공순해(수필) 등 범주를 넓힌 것도 이번 호의 특별함이다. 창간호에 이어 호주 한인 문인의 문학세계를 조명하는 평론(손성훈론 : 중앙대 이승하 교수)도 실었다.
저자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 저자 :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 호주 시드니에 거주하는 한인 문인들이 창작집 7권 동시 발간, 문학창작아카데미 개최 등 여러 행사를 함께 오던 중 2021년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를 결성하면서 연간지 ‘문학과 시드니’를 창간했다. 올해 제2호. 시드니문학상 운영 등 앞으로 할일도 많다. 모국을 벗어나 활동하는 글로벌 세계의 재외동포 문인들과 함께 하는 프로그램도 준비중이다.
목차 〔문학과 시드니(2022년 2호) 목차〕 사진 에세이 김지환 _ Letters from old town - Carcoa 우리네 봄날은 처연하게 간다 아웃백 갤러리 이수범 _ GumLake just after Flooding 시와 그림이 있는 권두언 김오 _ 조선오이 / 백경 (그림) 초대시 길상호 _ 리모델링 26 김준철 _ 살아서 떨어지는 것들 28 조동범 _ 페이지 30 최지인 _ 두더지 32 한혜영 _ 죽음의 노하우 33 시 김문 _ 퍼즐게임 / 공원의 갈매기들 36 김인옥 _ 제국의 열차 / 심판 39 박기현 _ 담장나무로부터 온 편지 / 정인이에게 41 신현숙 _ 한 줄기 바람 / 감옥 게임 45 송운석 _ 풍선은 아니라고 하지만 / 회전초밥 집에서 48 양오승 _ 꽃멍울 / 양금 할머니 52 유금란 _ 홈부시 베이 난파선 / 물고기 탁본 55 유영재 _ 연어 / 금귤나무 58 윤영이 _ 28호 침대 / 위험한 장례 60 윤희경 _ 골목의 나쁜 날씨 / 이브는 사과를 따지 않았다 62 조소영 _ 피아골 울음 계곡 / 고올치 65 황기철 _ 가로등 / 사람 사이 67 영역시 강애나 - 할머니 꿈 / Grandmother’s Dream 71 _ 변신 / Metamorphosis 74 초대수필 공순해 _ 벤슨허스트 블루스 80 노정숙 _ 제트스키와 백령도 84 박인애 _ 꿈을 찾아서 88 박종희 _ 길고양이 93 백동흠 _ 마지막 손님 97 홍억선 _ 참 102 수필 김마리아 _ 점에서 점으로 106 김미경 _ 책 무덤 110 박새미 _ 색 찰흙 114 송무경 _ 바람난 팔색조 118 양지연 _ 나의 보스는 AI 122 양혜자 _ 엄마의 대야 126 이정순 _ 터줏대감과 이발사 주인 130 장미혜 _ 다듬잇방망이 134 장석재 _ 호주 배심원 138 정동철 _ 물고기와 생선 143 정예지 _ 사리마다 이야기 148 최옥자 _ 바야흐로 시드니엔 봄이 찾아드는데 153 최지나 _ 고양이 안부가 궁금하다 156 초대동화 한정기 _ 생각보다 재밌는 일 162 동화 김대철 _ 화성 까마귀 176 초대소설 반수연 _ 화분의 시간 188 소설 손성훈 _ 구름이 있어야 노을이 아름답다 212 서평 이마리 _ 삶의 경계에 선 자들의 방황이 쓰나미처럼 나를 휩쓸고 지나갔다 240 -테레사 리 소설 『노란 운동화』 이승하 _ 저 바다 건너에서 당신은 잘살고 계십니까? 247 - 수필U시간 동인작품집 『바다 건너 당신』
기획특집 호주 한인 작가의 문학세계 2 이승하 _ 잊혀진 소설가 손성훈을 찾아서 262 편집후기 편집부 279
[ⓒ LA코리아( www.la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br></p><font color="#000000" face="Verdana">
<p style="font-size: medium;"><br></p>
<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font size="6" face="맑은 고딕"><b><br></b></font></p><p style="font-size: medium;"><font size="6" face="맑은 고딕"><b>문학과 시드니 (2022년 제2호)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b></font></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font size="4"><b><br></b></font></p><p style=""><b 맑은="" 고딕";="" font-size:="" large;="" letter-spacing:="" 0px;"="" style=""><font size="5">(곰곰나루)</font></b></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table id="community_image" class="left" align="left" width="760" style="font-size: medium;"><tbody><tr><td><img src="/rankup_module/rankup_board/attach/recobook/16722973202252.jpg" width="500" align="absmiddle"></td></tr></tbody></table><br><p style="font-size: medium;"><br><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p style="font-size: medium;"><br></p><div class="coll_tit" style="font-size: 12px; margin-bottom: 10px; padding-top: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idth: 620px; height: 27px; border-top: 1px solid rgb(231, 231, 231);"><h3 class="tit" style="margin: 6px 0px 0px; padding: 0px; display: inline; float: left; line-height: 1.14; color: rgb(0, 0, 0); letter-spacing: -1px;"><font size="3">책소개</font></h3></div><p class="desc" style="font-size: 12px; color: rgb(51, 51, 51);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font size="3">호주 한인들의 종합문예잡지(연간지) ‘문학과 시드니’ 제2호. 호주의 한인 인구는 거의 20만에 육박하고 있다. 이중에 반 정도가 시드니에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20세기 후반부터 시드니를 중심으로 소규모의 모국어문학 매체들이 있어 왔는데 2021년 그 매체 다수의 대표들이 모여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를 결성해 호주 한인들의 종합문예지를 표방하고 2021년 10월 ‘문학과 시드니’를 창간했고, 이번이 제2호다.<br>이번 제2호에는 시와 그림이 있는 권두언(김오/백경)을 시작으로 시(김문 등 13인, 총 26편), 수필(김마리아 등 13편), 영역시(김애나), 단편소설(손성훈), 동화(김대철) 등 창작물들과 서평 2편, 화보로 꾸민 에세이(김지환, 이수범) 등을 실었다. 또한 모국 문인을 비롯해 호주 밖 재외 문인들과도 함께 해 캐나다의 반수연(소설), 미국의 한혜영(시), 공순해(수필) 등 범주를 넓힌 것도 이번 호의 특별함이다. 창간호에 이어 호주 한인 문인의 문학세계를 조명하는 평론(손성훈론 : 중앙대 이승하 교수)도 실었다.</font></p><div class="info_section " 맑은="" 고딕",="" yethangulfont;"="" style="font-size: medium; padding-bottom: 20px; color: rgb(51, 51, 51); overflow: hidden;"><div class="cp_info" style="margin-top: 18px; color: rgb(119, 119, 119);"><br></div></div><div id="author-top" class="info_section info_writer " 맑은="" 고딕",="" yethangulfont;"="" style="font-size: medium; padding-bottom: 20px; color: rgb(51, 51, 51); overflow: hidden;"><div class="coll_tit" style="margin-bottom: 10px; padding-top: 19px; width: 620px; height: 27px; border-top: 1px solid rgb(231, 231, 231);"><h3 class="tit" style="margin: 6px 0px 0px; padding: 0px; display: inline; float: left; line-height: 1.14; color: rgb(0, 0, 0); letter-spacing: -1px;"><font size="3">저자</font></h3></div><div class="wrap_thumb" style="margin-right: 19px; float: left;"><span class="thumb_bf" style="display: block; position: relative;"></span></div><div class="wrap_cont"><strong class="tit_name"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sans-serif; margin: 3px 0px;"><font size="3">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font></strong><p class="desc" style="margin-top: 6px;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font size="3">저자 :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br>호주 시드니에 거주하는 한인 문인들이 창작집 7권 동시 발간, 문학창작아카데미 개최 등 여러 행사를 함께 오던 중 2021년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를 결성하면서 연간지 ‘문학과 시드니’를 창간했다. 올해 제2호. 시드니문학상 운영 등 앞으로 할일도 많다. 모국을 벗어나 활동하는 글로벌 세계의 재외동포 문인들과 함께 하는 프로그램도 준비중이다.</font></p></div><div class="cp_info" style="margin-top: 18px; color: rgb(119, 119, 119);"><br></div></div><p style="font-size: medium;"></p><p style="font-size: medium;"><font color="#000000" face="Verdana" size="3"></font></p><div class="info_section " 맑은="" 고딕",="" yethangulfont;"="" style="font-size: 9pt; margin: 0px; padding: 0px 0px 20px; color: rgb(51, 51, 51); overflow: hidden;"><div class="coll_tit" style="margin: 0px 0px 10px; padding: 19px 0px 0px; color: rgb(85, 85, 85); font-size: 9pt; width: 620px; height: 27px; border-top: 1px solid rgb(231, 231, 231);"><h3 class="tit" style="margin: 6px 0px 0px; padding: 0px; display: inline; float: left; line-height: 1.14; color: rgb(0, 0, 0); letter-spacing: -1px;"><font size="3">목차</font></h3></div><p class="desc" style="margin: 0px; padding: 0px; font-size: 9pt;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font size="3">〔문학과 시드니(2022년 2호) 목차〕<br style="font-size: 9pt;"><br style="font-size: 9pt;">사진 에세이 김지환 _ Letters from old town - Carcoa 우리네 봄날은 처연하게 간다<br style="font-size: 9pt;">아웃백 갤러리 이수범 _ GumLake just after Flooding<br style="font-size: 9pt;">시와 그림이 있는 권두언 김오 _ 조선오이 / 백경 (그림)<br style="font-size: 9pt;"><br style="font-size: 9pt;">초대시<br style="font-size: 9pt;">길상호 _ 리모델링 26<br style="font-size: 9pt;">김준철 _ 살아서 떨어지는 것들 28<br style="font-size: 9pt;">조동범 _ 페이지 30<br style="font-size: 9pt;">최지인 _ 두더지 32<br style="font-size: 9pt;">한혜영 _ 죽음의 노하우 33<br style="font-size: 9pt;"><br style="font-size: 9pt;">시<br style="font-size: 9pt;">김문 _ 퍼즐게임 / 공원의 갈매기들 36<br style="font-size: 9pt;">김인옥 _ 제국의 열차 / 심판 39<br style="font-size: 9pt;">박기현 _ 담장나무로부터 온 편지 / 정인이에게 41<br style="font-size: 9pt;">신현숙 _ 한 줄기 바람 / 감옥 게임 45<br style="font-size: 9pt;">송운석 _ 풍선은 아니라고 하지만 / 회전초밥 집에서 48<br style="font-size: 9pt;">양오승 _ 꽃멍울 / 양금 할머니 52<br style="font-size: 9pt;">유금란 _ 홈부시 베이 난파선 / 물고기 탁본 55<br style="font-size: 9pt;">유영재 _ 연어 / 금귤나무 58<br style="font-size: 9pt;">윤영이 _ 28호 침대 / 위험한 장례 60<br style="font-size: 9pt;">윤희경 _ 골목의 나쁜 날씨 / 이브는 사과를 따지 않았다 62<br style="font-size: 9pt;">조소영 _ 피아골 울음 계곡 / 고올치 65<br style="font-size: 9pt;">황기철 _ 가로등 / 사람 사이 67<br style="font-size: 9pt;"><br style="font-size: 9pt;">영역시<br style="font-size: 9pt;">강애나 - 할머니 꿈 / Grandmother’s Dream 71<br style="font-size: 9pt;">_ 변신 / Metamorphosis 74<br style="font-size: 9pt;"><br style="font-size: 9pt;">초대수필<br style="font-size: 9pt;">공순해 _ 벤슨허스트 블루스 80<br style="font-size: 9pt;">노정숙 _ 제트스키와 백령도 84<br style="font-size: 9pt;">박인애 _ 꿈을 찾아서 88<br style="font-size: 9pt;">박종희 _ 길고양이 93<br style="font-size: 9pt;">백동흠 _ 마지막 손님 97<br style="font-size: 9pt;">홍억선 _ 참 102<br style="font-size: 9pt;"><br style="font-size: 9pt;">수필<br style="font-size: 9pt;">김마리아 _ 점에서 점으로 106<br style="font-size: 9pt;">김미경 _ 책 무덤 110<br style="font-size: 9pt;">박새미 _ 색 찰흙 114<br style="font-size: 9pt;">송무경 _ 바람난 팔색조 118<br style="font-size: 9pt;">양지연 _ 나의 보스는 AI 122<br style="font-size: 9pt;">양혜자 _ 엄마의 대야 126<br style="font-size: 9pt;">이정순 _ 터줏대감과 이발사 주인 130<br style="font-size: 9pt;">장미혜 _ 다듬잇방망이 134<br style="font-size: 9pt;">장석재 _ 호주 배심원 138<br style="font-size: 9pt;">정동철 _ 물고기와 생선 143<br style="font-size: 9pt;">정예지 _ 사리마다 이야기 148<br style="font-size: 9pt;">최옥자 _ 바야흐로 시드니엔 봄이 찾아드는데 153<br style="font-size: 9pt;">최지나 _ 고양이 안부가 궁금하다 156<br style="font-size: 9pt;"><br style="font-size: 9pt;">초대동화 한정기 _ 생각보다 재밌는 일 162<br style="font-size: 9pt;"><br style="font-size: 9pt;">동화 김대철 _ 화성 까마귀 176<br style="font-size: 9pt;"><br style="font-size: 9pt;">초대소설 반수연 _ 화분의 시간 188<br style="font-size: 9pt;"><br style="font-size: 9pt;">소설 손성훈 _ 구름이 있어야 노을이 아름답다 212<br style="font-size: 9pt;"><br style="font-size: 9pt;">서평<br style="font-size: 9pt;">이마리 _ 삶의 경계에 선 자들의 방황이 쓰나미처럼 나를 휩쓸고 지나갔다 240<br style="font-size: 9pt;">-테레사 리 소설 『노란 운동화』<br style="font-size: 9pt;">이승하 _ 저 바다 건너에서 당신은 잘살고 계십니까? 247<br style="font-size: 9pt;">- 수필U시간 동인작품집 『바다 건너 당신』</font></p><p class="desc" style="margin: 0px; padding: 0px; font-size: 9pt;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font size="3"><br style="font-size: 9pt;"></font></p><p class="desc" style="margin: 0px; padding: 0px; font-size: 9pt;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font size="3">기획특집 호주 한인<span class="hide_desc" style="display: inline;"> 작가의 문학세계 2<br style="font-size: 9pt;">이승하 _ 잊혀진 소설가 손성훈을 찾아서 262<br style="font-size: 9pt;"><br style="font-size: 9pt;">편집후기 편집부 279</span></font></p></div>
<p style="font-size: medium;"><br></p>
<p style="font-size: medium;"> </p>
<p style="font-size: medium;"></p>
<p style="font-size: medium;"></p>
<p style="font-size: medium;"></p>
<p style="font-size: medium;"></p>
<p style="font-size: medium;"></p>
<p style="font-size: medium;"></p>
<p style="font-size: medium;"></p>
<p style="font-size: medium;"></p><span style="font-size: medium;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p><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face="돋움" size="3">[ⓒ LA<a>코리아(</a></font><a></a><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lakorea.net/" target="_blank"></a><a></a><font color="#000000" face="돋움" size="3"><a></a>www.lakorea.net</font><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face="돋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p></font></font></font></span></font></span></font>
번호
전체분류 시집 소설 월간 계간 수필 기타 산문집 평론 연간집 동시집 동화 시조집 아동 그림책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277
276
275
274
273
272
271
270
269
268
267
266
265
264
263
☞
261
260
259
258
257
256
255
254
253
252
251
250
249
248
회원정보
닉네임
LA코리아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