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거룩한 행자-안원찬 시집 (문학의 전당)
작성자: LA코리아
조회: 3100 등록일: 2019-01-17
거룩한 행자-안원찬 시집
(문학의 전당)
∎ 책 소개 강원 홍천에서 태어나 2004 년 시집 『지금 그곳은 정전이 아니다』, 2013 년 《시에티카》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안원찬 시인의 신작 시집. 시인은 이번 시집을 통해 ‘ 일상주의자’ 의 면모를 여과 없이 발휘한다. 경험과 극복이 동시에 도착하는 일상의 양면을 자유롭게 뒤집으며 있는 그대로의 이야기를 자연스레 포착해낸다. 시인은 결코 일상을 왜곡하거나 새롭게 포장하지 않는다. 건져 올린 일상 속에서 삶과 죽음, 기쁨과 애통, 희망과 허무, 욕망과 결핍을 발견하는 자연스러움으로 일상성의 시학을 구축하고 있다. “ 땅 위에도 별이 있다는 걸 사람들은 모른다” ( 「별꽃」) 고 말하는 시인의 소박한 눈길이 보편적인 일상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것을 피워내고, 낮은 자세를 통해 받아낸 삶의 척박하고도 들리지 않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그 작은 관심은 시인의 시 세계의 주춧돌이 되었고, 그것은 이 시집의 많은 시들을 출발하게 만든 힘이다. 자연과 사람을 오고가며 삶에 견디는 재미를 불어넣고, 켜켜이 내려앉는 무성의 세월을 라디오처럼 켜는 사람. 시인의 시를 읽다보면 내려앉은 자리가 잠시 환해진다. 우리 모두가 “ 거룩한 행자” 이며 일상성이라는 베개를 함께 베고 누운 사이니까. 그 좁은 간격을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시집의 넉넉함이 당신을 기다리고 있다.
안원찬 시인이 긴장과 갈등을 경험하는 일상의 사건들은 모두 ‘사람의 마을’에서 일어난다. 사람의 마을이 그를 낮추고, 그를 높이며, 그로 하여금 불성을 찾는 행자가 되게 만든다. 반면에 일상의 자연물들은 그와 늘 행복한 합일상태에 있다. 그렇게 보면 일상의 자연물들이말로 그 자체 붓다이다. 그것들은 열반에 이르는 과정도 없이 이미 열반에 가 있는, 부처되기의 고행도 없이 이미 부처가 되어 있는 존재들이다. 그러므로 세속의 행자가 교제하기 가장 원하는 대상은 일상의 자연물들일 수밖에 없다. 그것은 모순으로 주체를 괴롭히지 않으며, 도달해야 할 정신의 경지를 강요하지도 않는다. 그것들은 그저 존재할 뿐이며, 존재 자체로 충일한 존재들이다. 무릇 모든 의미는 생명과 더불어 시작되고, 지속되며, 끊임없이 생성된다. 그러나 바로 그 생명성은 갈등과 욕망과 혼란과 죽음의 원인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삶이란 결국 ‘색즉시공 공즉시색’의 현실을 견디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 모두는 “거룩한 행자”들이다. 안원찬 시집 『거룩한 행자』는 그가 모순으로 가득 찬 일상성의 숲을 만행하면서 응결시킨 작은 열매들이다. —오민석(문학평론가·단국대 교수) 이 모두는 늙음의 꽃이다 어떤 모양으로 피든 어떤 색깔로 피든 말없이 피었다가 말없이 가야 하는 꽃이다 저승 꽃이다 ‒「독거노인」 부분 송이송이 흰 글자들 쏟아져 내린다 벌판의 갱지에 소복하게 내려앉아 반짝반짝 서정을 빛내고 있다 스멀스멀 피어오르는 저녁연기 사이 일찍 찾아온 개밥바라기별 더듬더듬 시를 읽는다 ‒「시」 전문 달빛에 만발한 벚꽃이 그립다. 빈 가지에 피어난 설화처럼, 2018년 7월 옥류산방에서 안원찬 ∎ 저자 소개
안원찬 시인 강원 홍천에서 태어나 한신대학교 문예창작대학원을 졸업했다. 2004 년 시집 『지금 그곳은 정전이 아니다』, 2013 년 《시에티카》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가슴에 이 가슴에』 『귀가 운다』가 있다 .
∎ 목 차 시인의 말 제 1 부 유정란 13 날마다 좋은 날 14 짜깁기 16 독거노인 18 탑골공원 20 두드러기 21 제삿날 22 차( 茶) 나 마시게 24 비의 꽃 활짝 피웠으면 좋겠다 26 감기몸살 28 내 몸은 오물투성이다 29 폐교 30 그녀는 아직 배냇짓을 한다 32 키스는 열쇠다 34 시 36 제 2 부 밤나무—긴밭들 1 39 빈집—긴밭들 2 40 성산터 마을 사람들—긴밭들 3 41 밤의 영혼들—긴밭들 4 42 늙은 살구나무—긴밭들 5 44 상두—긴밭들 6 45 좋은 친구—긴밭들 7 46 항아리—긴밭들 8 47 긴밭들에 가서 살고 싶다—긴밭들 9 48 무청—긴밭들 10 50 갈 들녘 바라보고 있으면—긴밭들 11 51 그리운 말순이—긴밭들 12 52 염소젖에 대한 단상—긴밭들 13 54 늙은 고야나무—긴밭들 14 56 누가 주인공인가—긴밭들 15 57 회춘—긴밭들 16 58 제 3 부 방동사니 61 행복 수선집 62 탁상용 선풍기 64 차 안에서 66 나는 생소주에 녹는다 68 겨울 쫓는 찐빵 69 겨울이면 떠오르는 그 그리움 70 새벽 인력시장에서 72 네 주둥이는 기형( 畸形) 이다 73 챔피언이었다 74 자전거 보관소를 지나며 76 눈발들 78 도미 79 상조보험 80 신을 모시고 산다 82 낚시터 84 제 4 부 헛개나무 87 백일홍 88 성탄목 89 거룩한 행자 90 모과 92 냉이의 생존경쟁 93 소상( 小祥) 94 해우소 96 구취 97 그토록 날 미워했던 당신은 98 사랑의 매개자들 100 등나무와 호박벌 101 별꽃 102 세탁소 103 나비랑 나랑 104 해설 | 일상성의 시학 105 오민석( 문학평론가· 단국대 교수)
[ⓒ LA 코리아( www.la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br></p><font color="#000000" face="Verdana" size="3">
<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6"><strong><br></strong></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6"><strong>거룩한 행자-안원찬 시집</strong> </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6"><br></font></p><p><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4"><strong>(문학의 전당)</strong></font></p><p><strong><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4"></font></strong><br></p><font color="#000000" face="Verdana" size="3"><p><u><font color="#0066cc"> </font></u></p><u><font color="#0066cc"><p><table width="458" align="left" class="left" id="community_image"><tbody><tr><td><img width="458" align="absmiddle" src="/rankup_module/rankup_board/attach/recobook/15476910341798.jpg"></td></tr></tbody></table><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font><p></p></u><p><u><font color="#0066cc"><br></font></u></p><div class="se_editView"><!-- SE3-TEXT { --><span><br></span><br><!-- } SE3-TEXT --></div><div class="se_component se_paragraph default"><div class="se_sectionArea"><div class="se_editArea"><div class="se_viewArea se_ff_nanumgothic se_fs_T3 se_align-left"><div class="se_editView"><div class="se_textView"><p class="se_textarea"><!-- SE3-TEXT { --><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b>∎ </b><b>책 소개</b><br> <br>강원 홍천에서 태어나 <span lang="EN-US">2004</span>년 시집 『지금 그곳은 정전이 아니다』<span lang="EN-US">,</span><span lang="EN-US"> </span><span lang="EN-US">2013</span>년 《시에티카》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안원찬 시인의 신작 시집<span lang="EN-US">.</span><br> <br>시인은 이번 시집을 통해 <span lang="EN-US">‘</span>일상주의자<span lang="EN-US">’</span>의 면모를 여과 없이 발휘한다<span lang="EN-US">. </span>경험과 극복이 동시에 도착하는 일상의 양면을 자유롭게 뒤집으며 있는 그대로의 이야기를 자연스레 포착해낸다<span lang="EN-US">. </span>시인은 결코 일상을 왜곡하거나 새롭게 포장하지 않는다<span lang="EN-US">. </span>건져 올린 일상 속에서 삶과 죽음<span lang="EN-US">, </span>기쁨과 애통<span lang="EN-US">, </span>희망과 허무<span lang="EN-US">, </span>욕망과 결핍을 발견하는 자연스러움으로 일상성의 시학을 구축하고 있다<span lang="EN-US">.</span><br> <br><span lang="EN-US">“</span>땅 위에도 별이 있다는 걸 사람들은 모른다<span lang="EN-US">”</span><span lang="EN-US">(</span>「별꽃」<span lang="EN-US">)</span>고 말하는 시인의 소박한 눈길이 보편적인 일상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것을 피워내고<span lang="EN-US">, </span>낮은 자세를 통해 받아낸 삶의 척박하고도 들리지 않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다<span lang="EN-US">. </span>그 작은 관심은 시인의 시 세계의 주춧돌이 되었고<span lang="EN-US">, </span>그것은 이 시집의 많은 시들을 출발하게 만든 힘이다<span lang="EN-US">.</span><br> <br>자연과 사람을 오고가며 삶에 견디는 재미를 불어넣고<span lang="EN-US">, </span>켜켜이 내려앉는 무성의 세월을 라디오처럼 켜는 사람<span lang="EN-US">. </span>시인의 시를 읽다보면 내려앉은 자리가 잠시 환해진다<span lang="EN-US">. </span>우리 모두가 <span lang="EN-US">“</span>거룩한 행자<span lang="EN-US">”</span>이며 일상성이라는 베개를 함께 베고 누운 사이니까<span lang="EN-US">. </span>그 좁은 간격을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시집의 넉넉함이 당신을 기다리고 있다<span lang="EN-US">.</span><br> <!-- } SE3-TEXT --></font></font></font></p></div></div></div></div></div></div><div class="se_component se_paragraph default"><div class="se_sectionArea"><div class="se_editArea"><div class="se_viewArea se_ff_nanumgothic se_fs_T3 se_align-left"><div class="se_editView"><div class="se_textView"><p class="se_textarea"><!-- SE3-TEXT { --><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span><br><br><b>∎ </b><b>추천사</b><br><b></b><br><!-- } SE3-TEXT --></font></font></font></p></div></div></div></div></div></div><div class="se_component se_quotation quotation_line"><div class="se_sectionArea"><div class="se_editArea"><div class="se_viewArea se_fs_T3"><div class="se_editView"><div class="se_textView"><blockquote class="se_textarea"><!-- SE3-TEXT { --><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안원찬 시인이 긴장과 갈등을 경험하는 일상의 사건들은 모두 ‘사람의 마을’에서 일어난다. 사람의 마을이 그를 낮추고, 그를 높이며, 그로 하여금 불성을 찾는 행자가 되게 만든다. 반면에 일상의 자연물들은 그와 늘 행복한 합일상태에 있다. 그렇게 보면 일상의 자연물들이말로 그 자체 붓다이다. 그것들은 열반에 이르는 과정도 없이 이미 열반에 가 있는, 부처되기의 고행도 없이 이미 부처가 되어 있는 존재들이다. 그러므로 세속의 행자가 교제하기 가장 원하는 대상은 일상의 자연물들일 수밖에 없다. 그것은 모순으로 주체를 괴롭히지 않으며, 도달해야 할 정신의 경지를 강요하지도 않는다. 그것들은 그저 존재할 뿐이며, 존재 자체로 충일한 존재들이다. 무릇 모든 의미는 생명과 더불어 시작되고, 지속되며, 끊임없이 생성된다. 그러나 바로 그 생명성은 갈등과 욕망과 혼란과 죽음의 원인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삶이란 결국 ‘색즉시공 공즉시색’의 현실을 견디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 모두는 “거룩한 행자”들이다. 안원찬 시집 『거룩한 행자』는 그가 모순으로 가득 찬 일상성의 숲을 만행하면서 응결시킨 작은 열매들이다.<br>—오민석(문학평론가·단국대 교수)<!-- } SE3-TEXT --></font></font></font></blockquote></div></div></div></div></div></div><div class="se_component se_paragraph default"><div class="se_sectionArea"><div class="se_editArea"><div class="se_viewArea se_ff_nanumgothic se_fs_T3 se_align-left"><div class="se_editView"><div class="se_textView"><p class="se_textarea"><!-- SE3-TEXT { --><br><br><br><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b>∎ </b><b>책 속에서</b><br> <br><!-- } SE3-TEXT --></font></font></font></p></div></div></div></div></div></div><div class="se_component se_quotation default"><div class="se_sectionArea"><div class="se_editArea"><div class="se_viewArea se_fs_T2"><div class="se_editView"><div class="se_textView"><blockquote class="se_textarea"><!-- SE3-TEXT { --><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이 모두는 늙음의 꽃이다<br>어떤 모양으로 피든 어떤 색깔로 피든<br>말없이 피었다가<br>말없이 가야 하는 꽃이다<br>저승<br>꽃이다<br><br>‒「독거노인」 부분<!-- } SE3-TEXT --></font></font></font></blockquote></div></div></div></div></div></div><div class="se_component se_paragraph default"><div class="se_sectionArea"><div class="se_editArea"><div class="se_viewArea se_ff_nanumgothic se_fs_T3 se_align-left"><div class="se_editView"><div class="se_textView"><p class="se_textarea"><!-- SE3-TEXT { --><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 <br><br><!-- } SE3-TEXT --></font></font></font></p></div></div></div></div></div></div><div class="se_component se_quotation default"><div class="se_sectionArea"><div class="se_editArea"><div class="se_viewArea se_fs_T2"><div class="se_editView"><div class="se_textView"><blockquote class="se_textarea"><!-- SE3-TEXT { --><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송이송이 흰 글자들 쏟아져 내린다<br> <br>벌판의 갱지에 소복하게 내려앉아<br> <br>반짝반짝 서정을 빛내고 있다<br> <br>스멀스멀 피어오르는 저녁연기 사이<br> <br>일찍 찾아온 개밥바라기별<br> <br>더듬더듬 시를 읽는다<br><br>‒「시」 전문<!-- } SE3-TEXT --></font></font></font></blockquote></div></div></div></div></div></div><div class="se_component se_paragraph default"><div class="se_sectionArea"><div class="se_editArea"><div class="se_viewArea se_ff_nanumgothic se_fs_T3 se_align-left"><div class="se_editView"><div class="se_textView"><p class="se_textarea"><!-- SE3-TEXT { --><br><br><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b>∎ </b><b>시인의 말</b><!-- } SE3-TEXT --></font></font></font></p></div></div></div></div></div></div><div class="se_component se_paragraph default"><div class="se_sectionArea"><div class="se_editArea"><div class="se_viewArea se_ff_nanumgothic se_fs_T3 se_align-left"><div class="se_editView"><div class="se_textView"><p class="se_textarea"><!-- SE3-TEXT { --><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 <br> <br> <br><!-- } SE3-TEXT --></font></font></font></p></div></div></div></div></div></div><div class="se_component se_quotation quotation_underline"><div class="se_sectionArea"><div class="se_editArea"><div class="se_viewArea se_fs_T2"><div class="se_editView"><div class="se_textView"><blockquote class="se_textarea"><!-- SE3-TEXT { --><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달빛에 만발한 벚꽃이<br> <br>그립다. 빈 가지에 피어난 설화처럼,<br> <br> <br>2018년 7월 옥류산방에서<br>안원찬<!-- } SE3-TEXT --></font></font></font></blockquote></div></div></div></div></div></div><div class="se_component se_paragraph default"><div class="se_sectionArea"><div class="se_editArea"><div class="se_viewArea se_ff_nanumgothic se_fs_T3 se_align-left"><div class="se_editView"><div class="se_textView"><p class="se_textarea"><!-- SE3-TEXT { --><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 <br> <br> <br> <!-- } SE3-TEXT --></font></font></font></p></div></div></div></div></div></div><div class="se_component se_paragraph default"><div class="se_sectionArea"><div class="se_editArea"><div class="se_viewArea se_ff_nanumgothic se_fs_T3 se_align-left"><div class="se_editView"><div class="se_textView"><p class="se_textarea"><!-- SE3-TEXT { --><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b>∎ </b><b>저자 소개</b><br> <br></font></font></font></p><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table width="141" align="left" class="left" id="community_image"><tbody><tr><td><font color="#0a0a0a"><img width="141" align="absmiddle" src="https://newyorkkorea.net/rankup_module/rankup_board/attach/recobook/15476764439279.jpg"></font></td></tr></tbody></table><p class="se_textarea"><font size="3"><br><font color="#0a0a0a"></font></font></p><p class="se_textarea"><font size="3"><br><font color="#0a0a0a"></font></font></p><p class="se_textarea"><font size="3"><br><font color="#0a0a0a"></font></font></p><p class="se_textarea"><font size="3"><br><font color="#0a0a0a"></font></font></p><p class="se_textarea"><font size="3"><br><font color="#0a0a0a"></font></font></p><p class="se_textarea"><font size="3"><br><font color="#0a0a0a"></font></font></p><p class="se_textarea"><font size="3"><br><font color="#0a0a0a"></font></font></p><p class="se_textarea"><font size="3"><br><font color="#0a0a0a"></font></font></p><p class="se_textarea"><font size="3"><br><font color="#0a0a0a"></font></font></p><p class="se_textarea"><font size="3"><br><font color="#0a0a0a"></font></font></p><p class="se_textarea"><font size="3"><br><font color="#0a0a0a"></font></font></p></font></font><p class="se_textarea"><font size="3"><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br>안원찬 시인<br> <br>강원 홍천에서 태어나 한신대학교 문예창작대학원을 졸업했다<span lang="EN-US">. 2004</span>년 시집 『지금 그곳은 정전이 아니다』<span lang="EN-US">,</span><span lang="EN-US"> </span><span lang="EN-US">2013</span>년 《시에티카》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span lang="EN-US">. </span>시집으로 『가슴에 이 가슴에』 『귀가 운다』가 있다</font></font><span lang="EN-US"><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span><span lang="EN-US"><br></span><span lang="EN-US"><br></span></p><span lang="EN-US"></span><!-- } SE3-TEXT --></div></div></div></div></div></div><div class="se_component se_paragraph default"><div class="se_sectionArea"><div class="se_editArea"><div class="se_viewArea se_ff_nanumgothic se_fs_T3 se_align-left"><div class="se_editView"><div class="se_textView"><p class="se_textarea"><!-- SE3-TEXT { --><font color="#0a0a0a"><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b>∎ </b><b>목 차</b><br> <br><b>시인의 말</b><br> <br><b>제</b><span lang="EN-US"><b>1</b></span><b>부</b><br>유정란 <span lang="EN-US">13</span><br>날마다 좋은 날 <span lang="EN-US">14</span><br>짜깁기 <span lang="EN-US">16</span><br>독거노인 <span lang="EN-US">18</span><br>탑골공원 <span lang="EN-US">20</span><br>두드러기 <span lang="EN-US">21</span><br>제삿날 <span lang="EN-US">22</span><br>차<span lang="EN-US">(</span>茶<span lang="EN-US">)</span>나 마시게 <span lang="EN-US">24</span><br>비의 꽃 활짝 피웠으면 좋겠다 <span lang="EN-US">26</span><br>감기몸살 <span lang="EN-US">28</span><br>내 몸은 오물투성이다 <span lang="EN-US">29</span><br>폐교 <span lang="EN-US">30</span><br>그녀는 아직 배냇짓을 한다 <span lang="EN-US">32</span><br>키스는 열쇠다 <span lang="EN-US">34</span><br>시 <span lang="EN-US">36</span><br> <br><b>제</b><span lang="EN-US"><b>2</b></span><b>부</b><br>밤나무—긴밭들 <span lang="EN-US">1 39</span><br>빈집—긴밭들 <span lang="EN-US">2 40</span><br>성산터 마을 사람들—긴밭들 <span lang="EN-US">3 41</span><br>밤의 영혼들—긴밭들 <span lang="EN-US">4 42</span><br>늙은 살구나무—긴밭들 <span lang="EN-US">5 44</span><br>상두—긴밭들 <span lang="EN-US">6 45</span><br>좋은 친구—긴밭들 <span lang="EN-US">7 46</span><br>항아리—긴밭들 <span lang="EN-US">8 47</span><br>긴밭들에 가서 살고 싶다—긴밭들 <span lang="EN-US">9 48</span><br>무청—긴밭들 <span lang="EN-US">10 50</span><br>갈 들녘 바라보고 있으면—긴밭들 <span lang="EN-US">11 51</span><br>그리운 말순이—긴밭들 <span lang="EN-US">12 52</span><br>염소젖에 대한 단상—긴밭들 <span lang="EN-US">13 54</span><br>늙은 고야나무—긴밭들 <span lang="EN-US">14 56</span><br>누가 주인공인가—긴밭들 <span lang="EN-US">15 57</span><br>회춘—긴밭들 <span lang="EN-US">16 58</span><br> <br><b>제</b><span lang="EN-US"><b>3</b></span><b>부</b><br>방동사니 <span lang="EN-US">61</span><br>행복 수선집 <span lang="EN-US">62</span><br>탁상용 선풍기 <span lang="EN-US">64</span><br>차 안에서 <span lang="EN-US">66</span><br>나는 생소주에 녹는다 <span lang="EN-US">68</span><br>겨울 쫓는 찐빵 <span lang="EN-US">69</span><br>겨울이면 떠오르는 그 그리움 <span lang="EN-US">70</span><br>새벽 인력시장에서 <span lang="EN-US">72</span><br>네 주둥이는 기형<span lang="EN-US">(</span>畸形<span lang="EN-US">)</span>이다 <span lang="EN-US">73</span><br>챔피언이었다 <span lang="EN-US">74</span><br>자전거 보관소를 지나며 <span lang="EN-US">76</span><br>눈발들 <span lang="EN-US">78</span><br>도미 <span lang="EN-US">79</span><br>상조보험 <span lang="EN-US">80</span><br>신을 모시고 산다 <span lang="EN-US">82</span><br>낚시터 <span lang="EN-US">84</span><br> <br><b>제</b><span lang="EN-US"><b>4</b></span><b>부</b><br>헛개나무 <span lang="EN-US">87</span><br>백일홍 <span lang="EN-US">88</span><br>성탄목 <span lang="EN-US">89</span><br>거룩한 행자 <span lang="EN-US">90</span><br>모과 <span lang="EN-US">92</span><br>냉이의 생존경쟁 <span lang="EN-US">93</span><br>소상<span lang="EN-US">(</span>小祥<span lang="EN-US">) 94</span><br>해우소 <span lang="EN-US">96</span><br>구취 <span lang="EN-US">97</span><br>그토록 날 미워했던 당신은 <span lang="EN-US">98</span><br>사랑의 매개자들 <span lang="EN-US">100</span><br>등나무와 호박벌 <span lang="EN-US">101</span><br>별꽃 <span lang="EN-US">102</span><br>세탁소 <span lang="EN-US">103</span><br>나비랑 나랑 <span lang="EN-US">104</span><br> <br>해설 <span lang="EN-US">| </span>일상성의 시학 <span lang="EN-US">105</span><br>오민석<span lang="EN-US">(</span>문학평론가<span lang="EN-US">·</span>단국대 교수<span lang="EN-US">)</span></font></font><br></font></p></div></div></div></div></div></div></font><font color="#0a0a0a">
</font><p><br></p><font color="#0a0a0a">
</font><p><br></p><font color="#0a0a0a">
</font><p><br></p><font color="#0a0a0a">
</font><p><br></p><font color="#0a0a0a">
</font><p><p><font color="#0a0a0a"><br></font></p><font color="#0a0a0a">
</font><br><p></p><font color="#0a0a0a">
</font><p><font color="#0a0a0a"> </font></p><font color="#0a0a0a">
</font><p></p><font color="#0a0a0a">
</font><p></p><font color="#0a0a0a">
</font><p></p><font color="#0a0a0a">
</font><p></p><font color="#0a0a0a">
</font><p></p><font color="#0a0a0a">
</font><p></p><font color="#0a0a0a">
</font><p></p><font color="#0a0a0a">
</font><p></p><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font color="#0a0a0a">
</font><p><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face="돋움" size="3"><font color="#0a0a0a">[ⓒ LA</font><a><font color="#0a0a0a">코리아(</font></a></font><a></a><a style="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lakorea.net/" target="_blank"><a></a><font face="돋움" size="3"><a></a><font color="#0a0a0a">www.lakorea.net</font></font><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a0a0a" face="돋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p></font></font></font></span></font></span></font>
번호
전체분류 시집 소설 월간 계간 수필 기타 산문집 평론 연간집 동시집 동화 시조집 아동 그림책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273
272
271
270
269
268
267
266
265
264
263
262
261
260
259
258
257
256
255
254
253
252
251
250
249
248
247
246
245
244
회원정보
닉네임
LA코리아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