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코리아    Boston    SF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Health
건강상담
닥터건강상담QA
병원정보
병원.의료뉴스공지
병원정보Q/A
응급조치 상식
의료보험 상담/정보
빠른 응급실 정보
내과
하명진 내과칼럼
정 이비인후과칼럼
제임스리 내분비질환
소아청소년과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임상심리학과
져스틴최의 아동심리
성형외과
이신지 성형외과칼럼
통증치료과
하명훈 통증재활칼럼
김치갑 통증치료칼럼
한의학/한방과
간송 한의학 칼럼
김홍순 한의학칼럼
동물병원
김기택 애완동물칼럼
안과
조민희 망막전문안과
라이프 건강
증상 관련 해법정보
웰빙 부르는건강상식
건강에 좋은추천음식
건강웰빙 운동
인체의 구조
추천병원탐방
병원집중탐방 인터뷰
병원 홈페이지 안내
:추천병원 홈 바로가기
건강힐링
자유게시판
힐링 명상음악듣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Health > 내과 > 하명진 내과칼럼
하명진 내과칼럼
당뇨병의 달(National Diabetes Month)
작성자: Dr.하명진 작성자정보 조회: 13981 등록일: 2016-11-05


당뇨병의 (National Diabetes Month)

 

미국 질병 관리본부(CDC)에서는 매년 11월을 당뇨병의 달로 정하여 당뇨병의 

계몽에 힘쓰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2,900만명이 당뇨병에 걸려 있고 그중

4명중 한명은 당뇨병에 걸린지도 모르고 지난다.당뇨병은 고혈압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성인병으로 자신의 일생동안 3명중 한명이 당뇨병에 걸리게 된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사망률도 정상인 보다 50%증가하고 당뇨병 치료에 두배 

이상 당뇨병 없는 환자보다 의료 비용이 많이 들게된다.

 

당뇨병의 종류(Types of Diabetes):

1: 1(type 1: Insulin Dependent Diabetes): 당뇨병 5% 오며 선천적

      으로 인슐린을 생성하지 못하여 인슐린 주사에 의존해야 하는 당뇨병이다.

 

2: 2(type 2: Non Insulin Dependent Diabetes): 당뇨병 환자중 90%

     많이오며 인슐린 몸에서 사용하지 못하여 혈당을 조절 못하는 당뇨병

     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 많이 걸리게 된다.

Type 2 diabetes risk factors: 2 당뇨병 위험군:

 A: 과체중 또는 비만증(Being overweight)

 B: 45 이상 성인(Being 45 years or older)

 C: 일주 3 이하 운동(Being physically active less than 3times/wk.

 D: 3 임신 당뇨병(Ever having gestational diabetes).

 E: 당뇨병 가족력(family history of Diabetes)

 

3: 3 임신 당뇨(type 3:gestational diabetes): 임신중 발생하는 당뇨병

     으로 9 파운드 이상의 과체중 태아를 분만한다.

 

증상(symptoms of Diabetes):

1: 피부가 건조하고 가렵다(itchy dry skin)

2: 소변이 자주 마렵다.(urinating more often)

3: 눈과 위장 장애(eye and stomach problems): 시력 저하 또는 위장장애.

4: 피로하거나 힘이 없다(feeling tired or weak)

5: 자주 목이 마르고 배고프다(increased thirst or hunger)

 

진단(Dx): 혈당,소변,혈액검사로 쉽게 진단 가능하다.

1: 공복 혈당(fasting glucose): 125mg/dl 이상이면 당뇨병 의심.

2: 식후 2-3시간후 혈당(2-3hr post prandial glucose): 200 이상시 당뇨병

3: 당화혈색소(Hgb A1C): 6% 이상시 당뇨병 확진(치료 목표는 7% 미만)

4: 소변검사시 당이 나타나고 거품과 함께 단백뇨도 생긴다.

 

치료 목표: 공복 혈당 <120,식후 혈당<180 당화혈색소(Hgb A1C)<7%

                  되도록 한다.

 

치료: 식이,운동,투약 그리고 확인요법으로 완전 당뇨 조절이 가능하다.

1: 식이요법+운동요법+Metformin 500-2000mg/day 상기 목표로 치료.

2: 치료가 안되면 식이요법+운동법+Metformin+Sulfanylurea 계통약,

    (;Glyburide,Glipizide) 첨가 또는 pioglytazone 또는 GLP-1 agonist

     첨가와 요사이 Januvia 또는 Ongliza 같은 dpp4 inhibitor class 약들과

     새로운 class Farxiga같은 sglt2 class 새로운 약들이 개발되어 첨가

     하여 치료 하기도 하지만 너무 비싸서 보험에서도 커버가 안되는 단점이 

     있다.또한 종류를 혼합한  combination drug 들도 많다.주치의와 상의

     하여 최선의 약을 처방받아 복용하여야 한다.

3: 당화혈색소(Hgb A1C) 9% 이상이면 진행된 당뇨병으로 기본 인슐린 치료

     basal insulin Lantus 또는 Levemir,Tresiba insulin 등을 첨가한다

4: 요사이 인슐린도 많이 개발되어 rapid acting,short acting,intermediate

     acting,long acting 등으로 48시간 지속되는 인슐린이 개발되었고 pen

     형태로 바늘도 매우 작아 사용하기도 간편하며 통증도 거의 없게 개발되었다.

     필자의 경우 rapid acting(1-3hr) 30% intermediate type NPH 

     70% 혼합형 70/30 mix flex pen 아침 저녁 30 unit 식전에 맞아 

     조절하고 식사양에 따라 때론 40unit 올려서 맞기도 한다.

5: 식이요법: 채소 50%+살고기 25%+현미/잡곡 25% 양을 정하고 적은

     과일 반개,저지랑 우유 1컵으로 하루 필요한 열량을 계산해 나누어 식사한다.

     하루 필요 열량= 30-35 KCal/kg body weight 3-4 나눠서 먹는다.

6: 운동요법: 매일 규칙적으로 20-60 정도가 좋다.jogging 1hr=360KCal

                      수영 1시간 360 칼로리 소모.

7: 심리요법: 스트레스 호르몬이 혈당을 상승시키므로 마음의 평안이 중요하다.

 

저혈당 증상(Hypoglycemia Sx):혈당이 60 이하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즉시 3-4개의 Glucose tabs 캔디같은 단것을 먹어야 한다

1: 식은 땀과 허기가 진다(Sweating & hunger)

2: 어지럽고 떨린다(dizziness & shakiness)

3: 두통이 오고 창백해 진다.(headache & pale skin color)

4: 말할때 발음 불투명(tingling sensation around mouth)

5: 주위가 산만해 진다.(difficulty paying attention).

6: 신경과민과 행동장애(sudden moodiness or behavior changes)

7: 발작(seazure) 또는 기절(loss of consciousness).

 

합병증(complication): 치료를 게을리 하면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올수있다.

1: 다리 절단(loss of limbs)

2: 시력 상실(blindness or blurry vision).

3: 중풍(stroke) 또는 심장마비(heart attack)

4: 신장 질환(Kidney disease) 결국 신장 투석(Hemodialysis) 하게된다.

 

당뇨 치료의 중요한 ABCs(Know your ABCs):

A: the A1C test(당화혈색소): 지난 3개월간 평균 조절 혈당 혈색소 검사 

     정상= 6% 미만,당뇨병 치료 목표<7% 1% 상승시 합병증 35% 증가,

B: Blood pressure: 정상: 115/75 mmhg, 목표 130/80 미만 유지해야 .

     135/85 이상이면 혈압약 치료가 필요.(lisinopril,enalapril,losartan,etc)

C: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정상= 200 미만,HDL(좋은 콜레스테롤)

     45 이상,나쁜 LDL 콜레스테롤 130미만,중성지방(triglyceride)<150 미만

     되도록 식이요법과 투약요법으로 조절하여야 한다.

S: Stop smoking & drinking alcohol(금연과 금주) 필수사항 이다.

 

주기적 당뇨 검사와 추천사항(Put care on your calendar):

1: 매일 운동,적절한 식이요법,투약요법,확인요법(공복,식후 혈당검사,소변검사)

2: 3개월 마다 주치의 방문하여 혈액검사,소변검사,혈압측정,합병증 유무 검진.

3: 6개월 마다 A1C 혈액검사와 치과 진료.

4: 매년 콜레스테롤,신장기능검사,안과진료,독감 예방접종. Foot care.

5: Healthy life style 유지하고 매일 혈당 측정으로 당뇨가 조절되는지

     확인하여야 합병증을 예방할수 있다.(매일 측정치,식이요법,운동량등을

     기록하는 당뇨 일기를 쓰는 습관을 갖고 주치의 방문시 가져간다.)

 

도움 & references: "Diabetes" 검색.

1: CDC.gov

2: webmd.com

3: newyorkkorea.net->health->하명진내과칼럼 #11-#17:당뇨병.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LA코리아(www.la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공지 아이티 솔레이시티 의료선교(1.2.3)-하명진 박사 LA코리아 12315 2016-02-24
공지 (단비TV) 뉴스- '아이티 의료선교사' 로 남은 일생 헌신키로 LA코리아 11035 2016-02-12
공지 뉴욕 하명진 박사, 아이티 의료선교사로 가난하고 병든 이들 위해 헌신키로, 훈훈한 Dr.하명진 12120 2016-02-12
공지 [선교]아이티 의료 선교회@솔레이시티 2015 Dr.하명진 12307 2015-09-18
공지 [건강세미나]하명진 내과의 '고혈압과 뇌졸증 예방' -4월 12일,후러싱 제일교회 Dr.하명진 12527 2015-06-10
공지 [선교 ]아이티 의료 선교 동영상-FUMC Haiti Mission @Soleil City,'14 뉴욕코리아 12705 2014-08-14
공지 [휴먼 다큐멘터리] 닥터 하명진의 "행복" 동영상 [20] 뉴욕코리아 20866 2012-06-15
249 미파클리닉 하이라이트,2024년 9월 30일,10월 2일 & 10월 4일. Dr. 하명진 957 2024-10-14
248 [선교] Love & Hope mission church in Cite Soleil,Haiti.-하명진 박사 Dr.하명진 11901 2017-06-22
247 독감 증상과 합병증(Flu symptoms & Complications) Dr.하명진 12781 2017-01-30
246 2017년을 건강하게 사는법(Healthy tips for 2017 new year) Dr.하명진 13196 2017-01-04
245 마약 중독 확산 비상 (Opioid epidemic in US) Dr.하명진 12934 2016-12-17
244 세계 에이즈 날(World AIDS Day) Dr.하명진 12366 2016-12-02
243 세계 항생제 인식 주간(World Antibiotic awareness week) Dr.하명진 15114 2016-11-19
당뇨병의 달(National Diabetes Month) Dr.하명진 13982 2016-11-05
241 유방암 인식의 달(Breast Cancer Awareness Month) Dr.하명진 13910 2016-10-21
240 수족구병 확산(Hand mouth & foot disease outbreaks) Dr.하명진 14053 2016-10-08
239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AntiMicrobial Resistance:AMR) Dr.하명진 13553 2016-09-24
238 세계 자살 예방의 날(World Suicide Prevention Day) Dr.하명진 12570 2016-09-11
237 Zika virus updates(지카 바이러스 최신 정보) Dr.하명진 11914 2016-08-27
236 뇌전증(Epilepsy) Dr.하명진 13305 2016-08-13
235 세계 간염의 날(World Hepatitis Day) Dr.하명진 11230 2016-07-31
234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 Dr.하명진 12288 2016-07-15
233 HIV(AIDS): 후천성 면역 결핍증 Dr.하명진 13050 2016-07-02
232 해외 단기선교 여행시 필요한 상비약과 주의사항 Dr.하명진 13006 2016-06-19
231 하크네시야 교회 2016 아이티 선교. LA코리아 11626 2016-06-19
230 조현병(Schizophrenia) Dr.하명진 13335 2016-06-03
229 편두통 2 (Migraine headache 2) Dr.하명진 13497 2016-05-20
228 편두통 1 (Migrane Headache 1) Dr.하명진 15076 2016-05-08
227 뎅기열 예방 백신(Dengue vaccine) Dr.하명진 13623 2016-04-22
1 | 2 | 3 | 4 | 5 | 6 | 7 | 8 | 9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당뇨병의 달(National Diabetes M...
글 작성자 Dr.하명진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센터문의, Tel: 대표 201-674-5611

E-mail: lakorea77@gmail.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LA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LA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