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비 부비동염 Acute rhinosinusitis |
작성자: Dr.이상원  |
조회: 5771 등록일: 2015-06-10 |
|
|
급성 비 부비동염 Acute rhinosinusitis
■ 급성 비 부비동염의 개요 비강과 그 주위에 있는 부비동에 급성 병원체 감염으로 생긴 감염병을 급성 비 부비동염이라 한다. 이 병명은 과거 흔히 쓰지 않았으나 근래 흔히 쓰는 병명이다. 사실은, 감기 등 바이러스 상기도염을 앓을 때 감기를 일으킨 바이스가 비강과 인두에만 감염되지 않고 비강 주위에 있는 부비동에도 감염되어 급성 바이러스 부비동염이 동시 생길 수 있다. 바이러스 상기도 감염염에 2차 박테리아 감염이 생길 수 있고 그때 박테리아 감염병이 비강에만 생길 수도 있고, 부비동에만, 또는 비강과 부비동에 동시 생길 수 있다. 비강과 부비동에 동시 감염될 때는 급성 박테리아 비 부동염(Acute bacterial rhinosinusitis)이라 한다.
■ 급성 비 부비동염 원인 이미 설명한바와 같이, 감기 등 바이러스 상기도 감염병을 앓을 때 폐렴연쇄상구균, 헤모필러스인플루엔자균, 또는 카타르성 모락셀라균 등 빅테리가 비강과 그 주위에 있는 부비동에 감염되어 2차 박테리아 감염병이 생길 수 있다.
■ 급성 비 부비동염의 증상 징후 급성 박테리아 비 부비동염의 증상과 징후는 다음과 같다. 누렇고 짙은 콧물이 나든지, 비강 점막층이 충혈 되어 코가 막힐 수 있다. 얼굴 양쪽 상악골에 상악 부비동이 있다. 그 중 한 쪽 또는 양쪽에 있는 상악 부비동에 상악 부비동염이 생길 수 있다. 부비동염이 있는 얼굴 부위를 손가락으로 살짝 눌러보면 압통이 있을 수 있다. 후비공을 통해서 인두강 상부로 콧물이 흘러갈 때 잔잔한 기침을 하고 가래를 조금 뱉을 수 있다. 냄새를 잘 맞지 못할 수 있고 때로는 냄새를 전혀 맡을 수 없다. 열, 기침, 피로 등의 증상 징후가 생길 수 있고 때로는 귀가 가렵거나 중이 강 압이 증가되는 기분이 생길 수 있다.
■ 급성 비 부비동염의 진단 증상 징후 징후, 진찰소견 등으로 이 병을 의심하면 비경, 비 내시경, 부비동과 코의 X-선 사진이나 CT 스캔 검사로 진단할 수 있다. 알레르기 비염, 또는 곰팡이 감염성 비염 등을 감별 진단해야 한다.
■ 급성 비 부비동염의 치료 비강 내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 분무치료, 드물게는 3~5일 동안 경구용 전신 코르티코 스테로이드제 복용으로 치료 하고 항생제로도 치료 한다. 요즘 Augumentin, 또는 Cefpodoxime proxetil 등 항생제로 치료한다.
※ 미 감염병 학회의 성인과 소아의 비 부비동염 치료 지침 Guideline Issued for Managing Acute Bacterial Rhinosinusitis 다음 같은 증상 징후가 있으면 바이러스 비부비동염 이 있다고 진단하기 보다 박테리아 비부비동염이 있을 가능성이 더 많다 증상 징후가 10일 이상 지속 될때가 증상 징후가 보통 보다 더 심하거나 고열이 나거나 곪음 비분비물이 3~4일 간 날 때나 부비동이 있는 얼굴 부위 아플 때 초기 호흡기 감염병이 시작된 후 3~4일 후 증상 징후가 더 심해지거나 경험 적으로 amoxicillin-clavulanate으로 치료 하고, Macrolides제나trimethoprim-sulfamethoxazole제로 치료 하지 않는다. 소스:Physician's First Watch for March 21, 2012
●위 포스팅 내용의 대부분은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소아가정간호백과)-www.koreapediatrics.com의 새원고에 있는 내용 중 일부입니다. 사진과 그림 영상은 편의상 안올렸습니다. 전문적인 면도 있지만 소아청소년 자녀 양육에 많이 도움되리라고 믿습니다. 여기에 있는 정보는 여러분의 의사로부터 얻는 정보 진단 치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한다-www.koreapediatrics.com ● drsangwonlee님의 네이버 블로그를 방문해 도움 받으세요 ● 여러분의 의견과 덧글을 환영합니다. 감사합니다. 이상원 드림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프로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무의촌 봉사 및 대한민국 군의관 근무
미국 커네티컷UCONN의과대학, 예일대학의과대학 소아과수련 미국소아과전문의, 한국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자격소지 뉴욕주, 노스캐롤라이나주, 커네티컷주, 한국 의사면허소지 Willimantic, Conn에서 John Sangwon Lee, MD, FAAP, Pediatric office 소아가정의학백과, 아들딸이렇게키워라, 임신분만 신생아 돌보기, 마약과 아이들, 소아가정간호백과(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한다), 성장발육 육아 저자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2001~현재) www.koreapediatrics.com 저자 및 운영 미국 커네티컷 UCONN 의과대학소아과 임상조교수 커네티컷 한인회회장 및 대한민국 민주평화통일자문위원
[ⓒ LA코리아(www.la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