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탁에 붙여놓아야 할 우리가 즐겨먹는 음식의 진실

암 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 제일 먼저 신경 쓰는 게 음식이다. 지금까지 먹어온 음식이 혹시 암을 유발하는 것은 아닌지, 식습관이 잘못된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는 것이다. 그러나 음식에 관한 이야기는 책과 인터넷에 수없이 많지만, 정확한 답은 보이지 않는다. 음식 관련 언론 기사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작정하고 만든 기사다. 이번에는 암을 예방하는 식습관, 암을 이기는 식습관에 확실히 결론을 내려보자.
▲ 대한암협회와 한국영양학회는 3여 년간의 연구를 통해
암과 음식과의 관계를 정확하게 규명해 냈다.
사진은 지난 8월 7일 있었던 연구 결과 발표 강연회 모습.
한국인의 사망 원인 1위인 암(癌). 암 발생의 가장 큰 요인은 식습관으로 밝혀졌지만 지금껏 우리 식생활에 맞는 암 예방서가 없어 상식과 속설에 의존해야만 했다. 이런 와중에 대한암협회와 한국영양학회가 ‘항암 식탁 프로젝트’(비타북스)란 책을 펴내 화제가 되고 있다. 책에 선정된 33가지 음식은 450여 편의 국내외 연구 및 실험 연구 자료를 토대로 국내 최고의 전문가들이 모여 암과 음식과의 관계를 규명해냈다. 3년여의 과학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음식을 통해 암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도 알려준다. 단순히 식품과 특정 암의 단편적인 관계를 밝히는 것이 아니라 33가지 음식과 각각의 대표적 식재료 및 조리법 등을 분석해 다각도로 암과 음식과의 관계를 밝혀낸다. 그리고 이를 통해 암을 예방할 수 있는 33가지 식사 지침을 제시한다. 여성조선이 ‘항암 식탁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우리가 즐겨 먹는 음식에 관한 정보와 암 예방 상차림을 소개한다.
1 쌀밥
‘ 밥 먹었니?’가 안부인사가 될 정도로 쌀밥은 오래도록 한국인의 로망이었다. 김이 모락모락 나면서 윤기가 자르르 흐르는 따끈따끈한 쌀밥은 생각만 해도 군침을 절로 돌게 한다. 하지만, 흰쌀밥은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이야기가 자주 들리곤 한다. 정말 그런 것일까? 요즘에는 식습관이 서구화되면서 밥 대신 간편한 빵과 면으로 끼니를 해결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것 역시 건강에 좋지 못하다는 말이 많다. 우리가 탄수화물의 주공급원으로 삼고 있는 ‘밥, 빵, 라면’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밥
Q | 쌀밥을 많이 먹으면 암에 걸린다?
쌀밥 자체와 암의 관련성은 없다. 탄수화물의 섭취량과 암의 관련성은 미약하다.
Q | 현미밥과 콩밥을 많이 먹으면 암을 방지할 수 있다?
암 예방과 직접적 관련성이 없다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현미와 콩에 함유된 여러 성분들이 암 발생 위험을 낮출 수는 있다.
암 예방하는 밥 짓기 가이드
1 쌀밥 대신 콩밥, 특히 현미콩밥을 먹자.
2 매끼 검은콩을 섞어 먹거나 두부와 된장 등의 콩 식품을 챙겨 먹자.
(콩에 포함된 이소플라본 성분이 암세포의 성장을 방해하고, 암의 전이 현상을 억제하는데, 매 끼 30g 정도를 섭취해야 암 예방 효과가 나타난다.)
빵
Q | 피자는 몸에 좋을까? 나쁠까?
피자에 들어 있는 토마토소스는 전립샘암의 위험도를 낮춰주지만 토핑으로 들어가는 육류 및 소시지 가공품 등은 대장직장암의 위험도를 증가시킨다.
Q | 서양에서는 주식으로도 먹는 빵, 무엇이 위험한가?
버 터, 치즈 등에 있을 수 있는 트랜스지방산 때문이다. 트랜스지방산의 섭취는 여성의 대장직장암 위험도를 높이므로 피해야 한다. 버터는 트랜스지방산의 공급원이므로 지나친 섭취는 삼가고, 식물성 마가린류로 대체하면 좋다. 쿠키, 도넛 등도 주의해야 한다.
면
Q | 라면이 비판받는 가장 큰 이유는 염분 때문이다?
면 을 기름에 튀기기 때문에 지방이 많은데다 김치, 젓갈을 많이 먹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라면 같은 짭짤한 음식은 암 발생률을 더욱 높이는 주범이다. 세계암연구재단은 개인별로 하루 염분 섭취 권장량을 6mg으로 권장했는데, 라면 한 그릇을 먹으면 무려 5mg의 염분을 섭취하게 된다.
Q | 자장면, 무엇이 문제인가?자장을 만들 때 쓰는 기름과 돼지고기에는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이 포함돼 있다. 이러한 동물성 지방은 유방암 발병 위험도를 증가시킨다
곧 2부를 올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