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우리 건강에 좋은 호흡법
작성자: 대추나무
조회: 4797 등록일: 2011-03-08
복식호흡 ① 서거나 앉거나 또는 누워서도 할 수 있으나, 앉아서 하는 것이 좋다. ② 숨을 마실 때 배가 나오고 내쉴 때 배가 들어가도록 한다. 효과 이 호흡은 숨을 마실 때 가슴이 펴지고 배가 들어가며, 내쉴때 가슴이 오무려지고 배가 나오는 흉식 호흡과는 반대의 호흡이다. 흉식 호흡은 일반인이 무의식적으로 숨을 쉴 때 하는 호흡이다. 그러나 요가나 중국의 선도, 불교의 선 등에서는 다른 호흡을 한다. 이 특수 호흡의 기본이 복식 호흡이다. 이 기본을 통하여 호흡 수행의 다양한 방법들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복식 호흡은 단순한 호흡의 기본으로만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다. 우선적으로 흉식 호흡보다 폐활량이 많다. 뿐만 아니라 숨을 마실 때 배가 나오게 됨으로써 횡경막이 내려가고 그에 따라 공기가 폐의 아랫 부분까지 들어가게 된다. 그러므로 일상생활 중에는 전혀 사용하지 않던 아래 폐를 사용하게 되고, 사용하지 않는 아래 폐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폐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배를 움직여서 호흡을 하기 때문에 모든 내장의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 소화 흡수 배설작용뿐만 아니라 소화액을 비롯한 호르몬 분비를 원활하게 한다. 복식 호흡은 이러한 물리적인 효과보다는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수행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자율신경에는 육체나 정신을 흥분시키는 교감신경과 그것들을 안정시키는 부교감신경이 있다. 이 둘이 균형을 이루어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데 평소에 대부분은 교감신경이 흥분된 상태에 있다. 흥분을 가라앉히기 위해서는 부교감신경을 작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런데 부교감신경은 배꼽을 중심으로 하여 주로 아래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복식 호흡이 필요하다. 그래서 복식 호흡만으로도 바로 심신의 안정을 찾을 수 있다 단전호흡 ① 정좌한 상태에서 어깨 가슴 허리는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② 복식호흡처럼 숨을 배로 가득히 마신 다음 내쉴 때 아랫배로 밀어내듯 내린다. 이때, 마신 숨을 모두 내쉬는 것이 아니라 약간 아랫배에 남겨두듯이 내쉰다. ③ 초보자인 경우에는 마시고 멈추고 내쉬기를 각각 5초, 5초, 5초간 행하나, 숙련자의 경우에는 각각 20초, 80초, 60초이다. 그러나 일상생활하는 일반인은 멈추지 말고 길게 내쉬려는 노력만으로도 충분하다. 효과 ① 복압력의 자극은 간의 작용을 호전시킬 뿐만이 아니라, 내분비기관의 활동을 촉진시키고 위장 내의 부패 발효를 방지한다. ② 배의 운동에 따른 복강 내의 변화에 의해서 위장 내분비의 중추가 자극되어 위액의 분비가 잘된다. ③ 이러한 내압의 변화는 모든 장기의 활동을 촉진시켜서 소화흡수작용이 잘되고 음식물의 적체 시간이 짧아진다.
<SPAN style="WIDOWS: 2;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BORDER-COLLAPSE: separate; FONT: medium Gulim; WHITE-SPACE: normal; ORPHANS: 2; LETTER-SPACING: normal; COLOR: rgb(0,0,0); WORD-SPACING: 0px; -webkit-border-horizontal-spacing: 0px; -webkit-border-vertical-spacing: 0px; -webkit-text-decorations-in-effect: none; -webkit-text-size-adjust: auto; -webkit-text-stroke-width: 0px" class=Apple-style-span><SPAN style="LINE-HEIGHT: 19px; BORDER-COLLAPSE: collapse; FONT-FAMILY: verdana; COLOR: rgb(53,53,53); FONT-SIZE: 12px; -webkit-border-horizontal-spacing: 2px; -webkit-border-vertical-spacing: 2px" class=Apple-style-span>
<TABLE style="LINE-HEIGHT: 1.6; FONT-FAMILY: 굴림, gulim, tahoma, sans-serif; COLOR: rgb(53,53,53); FONT-SIZE: 12px" id=clix_acontent_01AUL class=qnaContentTab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style="LINE-HEIGHT: 1.6; FONT-FAMILY: 굴림, gulim, tahoma, sans-serif; FONT-SIZE: 12px">
<TD style="LINE-HEIGHT: 1.6; FONT-FAMILY: 굴림, gulim, tahoma, sans-serif; COLOR: rgb(53,53,53); FONT-SIZE: 12px" class=tx-content-container>복식호흡<BR>① 서거나 앉거나 또는 누워서도 할 수 있으나, 앉아서 하는 것이 좋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② 숨을 마실 때 배가 나오고 내쉴 때 배가 들어가도록 한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BR>효과<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이 호흡은 숨을 마실 때 가슴이 펴지고 배가 들어가며,<BR>내쉴때 가슴이 오무려지고 배가 나오는 흉식 호흡과는 반대의 호흡이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흉식 호흡은 일반인이 무의식적으로 숨을 쉴 때 하는 호흡이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그러나 요가나 중국의 선도, 불교의 선 등에서는 다른 호흡을 한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이 특수 호흡의 기본이 복식 호흡이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이 기본을 통하여 호흡 수행의 다양한 방법들이 가능하게 된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그러나 복식 호흡은 단순한 호흡의 기본으로만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우선적으로 흉식 호흡보다 폐활량이 많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뿐만 아니라 숨을 마실 때 배가 나오게 됨으로써 횡경막이 내려가고<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그에 따라 공기가 폐의 아랫 부분까지 들어가게 된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그러므로 일상생활 중에는 전혀 사용하지 않던 아래 폐를 사용하게 되고,<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사용하지 않는 아래 폐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폐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또한 배를 움직여서 호흡을 하기 때문에 모든 내장의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소화 흡수 배설작용뿐만 아니라 소화액을 비롯한 호르몬 분비를 원활하게 한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복식 호흡은 이러한 물리적인 효과보다는<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수행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자율신경에는 육체나 정신을 흥분시키는 교감신경과<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그것들을 안정시키는 부교감신경이 있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이 둘이 균형을 이루어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데<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평소에 대부분은 교감신경이 흥분된 상태에 있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흥분을 가라앉히기 위해서는 부교감신경을 작용하도록 하여야 한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그런데 부교감신경은 배꼽을 중심으로 하여<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주로 아래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복식 호흡이 필요하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그래서 복식 호흡만으로도 바로 심신의 안정을 찾을 수 있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BR><BR><BR>단전호흡<BR>① 정좌한 상태에서 어깨 가슴 허리는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② 복식호흡처럼 숨을 배로 가득히 마신 다음 내쉴 때 아랫배로 밀어내듯 내린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이때, 마신 숨을 모두 내쉬는 것이 아니라 약간 아랫배에 남겨두듯이 내쉰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③ 초보자인 경우에는 마시고 멈추고 내쉬기를 각각 5초, 5초, 5초간 행하나,<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숙련자의 경우에는 각각 20초, 80초, 60초이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그러나 일상생활하는 일반인은<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멈추지 말고 길게 내쉬려는 노력만으로도 충분하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BR>효과<BR>① 복압력의 자극은 간의 작용을 호전시킬 뿐만이 아니라,<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내분비기관의 활동을 촉진시키고 위장 내의 부패 발효를 방지한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② 배의 운동에 따른 복강 내의 변화에 의해서<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위장 내분비의 중추가 자극되어 위액의 분비가 잘된다.<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③ 이러한 내압의 변화는 모든 장기의 활동을 촉진시켜서<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R>소화흡수작용이 잘되고 음식물의 적체 시간이 짧아진다. </TD></TR></TBODY></TABLE></SPAN></SPAN>
회원정보
닉네임
대추나무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