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코리아    Boston    SF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Health
건강상담
닥터건강상담QA
병원정보
병원.의료뉴스공지
병원정보Q/A
응급조치 상식
의료보험 상담/정보
빠른 응급실 정보
내과
하명진 내과칼럼
정 이비인후과칼럼
제임스리 내분비질환
소아청소년과
이상원 소아과전문의
임상심리학과
져스틴최의 아동심리
성형외과
이신지 성형외과칼럼
통증치료과
하명훈 통증재활칼럼
김치갑 통증치료칼럼
한의학/한방과
간송 한의학 칼럼
김홍순 한의학칼럼
동물병원
김기택 애완동물칼럼
안과
조민희 망막전문안과
라이프 건강
증상 관련 해법정보
웰빙 부르는건강상식
건강에 좋은추천음식
건강웰빙 운동
인체의 구조
추천병원탐방
병원집중탐방 인터뷰
병원 홈페이지 안내
:추천병원 홈 바로가기
건강힐링
자유게시판
힐링 명상음악듣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Health > 내과 > 하명진 내과칼럼
하명진 내과칼럼
신경성 대식증 (Bulimia Nervosa)
작성자: Dr.하명진 작성자정보 조회: 11055 등록일: 2015-11-27


 

      신경성 대식증 (Bulimia Nervosa)



 

신경성 대식증(Bulimia nervosa)은 심각한 생명까지 위협할수 있는 섭식장애(eating disorder)

식사 조절력의 상실로 많은양의 음식을 빠른 속도로 먹고 배가 불러도 계속 폭식 한후에 체중 증가의 

두려움으로 구토를 하거나 설사제로 설사를 하거나 이뇨제, 관장,굶기, 또는 과도한 운동으로 보상하려 

하는 신경성 질환이다. 90%에서 젊은 여성에 많고 최근 조사에서 보면 여대생 40%에서 폭식이나 하제 사용 경험이 있고 미국에서 매년 3백만 명의 신경성 대식증(Bulimia nervosa) 환자가 발생하고 젊은 여자에 많은 신경정신과 질환이다.

 

폭식한 후에 자신의 몸매나 체중에 너무 치중하여 강박적으로 토하거나 설사를 유도하거나 관장으로

배설하거나 굴거나 심한 운동으로 열량을 소모하여 폭식을 보상 하려하는 신경정신과적 질환으로 주 2회 이상 3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 하게된다.

 

대식증(Bulimia) 종류(Type); 다음과 같이 제거형과 비제거형 두 종류가 있다.

1: Purging Bulimia(제거형 대식증): 섭취한 음식을 self induce vomiting 즉 구토를 자신이 

    유발하거나 하제(laxative)로 설사를 유도 하거나 이뇨제 사용으로 소변으로 배설하거나 관장.           

    (Enema)로 섭취한 음식을 주기적으로 제거 하거나 배설을 하여 폭식을 치료하려는 형태이다.

2: Nonpurging Bulimia(비제거형):섭취한 음식물을 구토나 설사로 제거 하는것 보다 차라리 굶거나  

     운동 등으로 열량 섭취를 감소하거나 열량을 소모 시켜 폭식에 의한 체중을 조절하려는 형태이다.

                                        

 

대식증 원인: 유전적,환경적,신경정신과적,문화적 이상 등 여러 원인 등으로 온다.

1: 원인이 없이 오는 경우도 많다.

2: 우울,불안,절망감,외로움,초조증,부정적 감정 들을 폭식함으로 보상하려 한다.

3: 체중 조절력을 상실하고 외부 자극과 스트레스가 음식으로 더욱 끌려 습관적으로 대식과 폭식으로

     배가 불러도 강박적으로 이어진다.

4: 직업상 활동시 외모와 상관이 있는 경우.예를 들면 배우,가수,모델,탤런트 등에 많다.

5: 생활 형태의 변화로 스트레스 받을때 보상 심리로도 온다.

6: 과거에 외상(trauma) abuse(학대)를 당한 경험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7: 자신의 몸매에 부정적 (Negative body image)인 경우 폭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8: 자신감 상실(poor self esteem)로 먹는것으로 보상 한다.

 

증상: 2회 이상,3개월 이상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반복적으로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1: 음식 조절력을 상실하고 빨리 많은양을 배가 불러도 습관적으로 섭취한다.

2: 체중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폭식하고 스스로 토하거나 설사제,이뇨제 복용,관장을 반복 한다.

3: 다이어트 약물 오용과 남용,굶기,심한 운동으로 폭식에 의한 체중증가를 보상하려 한다.

4: 자신의 몸매와 체중에 매우 민감하게 되며 자존심이 강하고 예쁜 젊은 여성에 많다.

5: 우울감,불안증의 증상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6: 충동적으로 과음하거나 진정제 상습 복용,diet 약물 과용도 올수 있다.

7: 때론 음식,,보석 등을 충동적으로 폭식하고 난후 훔치는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검사 및 진단: 상기 열거한 증상이 평균 매주 일회 이상 3개월 이상 지속시 임상적으로 진단 한다

                     또한 합병증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검사를 추천한다.

1: 혈액검사로 구토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빈혈,백혈구 수치 저하,간기능 이상 여부의 합병증을 확인한다.

2: 뇌의 문제가 없는지 필요한 경우 뇌의 MRI.PET scan을 한다.

3: 장기간 폭식 및 구토로 인한 폐의 이상 유무를 알기 위해 가슴 X-Ray로 흡입하여 폐렴(Aspiration         

    Pneumonia)여부와 복부 초음파(Abdominal Sonogram)으로 지방간 여부,담석증(Gall stone)

    등 간,콩팥,담낭의 이상 유무,심전도 등으로 심장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4: 증상이 심하면 입원하여 합병증 여부를 위한 정밀검사와 적절한 치료와 신경정신과적 검사가 필요하다

 

합병증: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올수 있다.

1: 구토와 설사제 복용과 관장을 반복하므로 전해질 불균형과 만성 탈수로 신장 기능 부전도 올수 있다.

2: 심장에도 나쁜 영향을 주게되어 부정맥(arrythmia)과 심기능 부전(heart failure)도 올수있다.

3: 충치나 풍치등의 치주병 동반이 많다.

4: 여성의 경우 생리가 없어지거나 불규칙하게 된다.

5: 소화기능의 이상이 생겨 설사제를 사용하여야만 배변을 보게 되기도 한다.

6: 폭주하거나(misuse of alcohol) 또는 약 오용과 남용이 많다.

7: 우울증과 불안증 동반도 올수 있다.

8: 최악의 경우 자살을 시도 할수도 있다.

 

치료: 때때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완화를 보이나 치료후에도 재발 할수 있고 만성으로 전이 될수도 있다

1: 치료는 폭식장애나 비만증 치료와 유사하다.(하명진내과 칼럼:비만증 치료 참고).

A: Psychotherapy: 신경정신과 치료.

     a: CBT(Cognitive behavioral therapy:인지행동요법);부정적 생각과 행동을 긍정적인 생각과

         행동으로 바꾸는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심리요법,행동 인지요법,Counselling 등으로 치료한다

     b: Family-based therapy: 부모나 가족들이 도와서 건강 식단으로 바꾸고 열량이 많은 단 음식,

          Soda,지방음식,fast food을 피하게 하고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고 격려하여 주도록 한다.

     c: Interpersonal psychotherapy: 개인적인 문제점을 파악해서 대화와 카운슬링으로 문제점

         해결 방법과 능력을 키워진다.

B: 투약요법:

     a: FDA 에서 허가한 Prozac같은 항우울제 복용약과 counselling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b: SSRI(Selective Serotonin Receptor Inhibitor)계열의 항우울제 도 도움을 준다.

C: Nutrition education: dietician에 의한 건강 식단과 정상적인 식사습관을 교육한다.

D: 건강 체중 유지(maintain healthy weight): 전문가에 의한 체중 감량 프로그램으로 정상 건강

     체중을 유지 하도록 한다.(medically supervised wt-loss program to maintain healthy 

     weight)

E: 입원 치료: 증상이 심하고 심각한 합병증이 동반하면 입원하여 치료하지만 대부분 통원 치료를 한다.

 

 

예후(prognosis): 일반적으로 양호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경과가 좋아진다.

1: 예후는  섭식 장애(eating disorder)인 신경성 식욕부진(Anorexia nervosa) 보다 양호하다.

2: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폭식과 설사제 사용은 50%이상에서 호전 되어 사용하지 않게 된다.

3: 치료를 적절히 받아도 1/3은 예후가 만성으로 지속되기도 한다.

4: 때론 1-2년내에 치료를 받지 않아도 저절로 신경성 대식증이 소실 되기도 한다.

5: 증상이 악화되면 불안증,우울증이 동반 되기도 한다. 최악의 경우 자살도 초래할수 있다.

 

도움 & references: "bulimia" 검색.

1: www.bulimia.com

2: www.bingeeatingdisorder.com

3: www.webmd.com

4: www.bingeeatinghelpline.com

5: www.newyorkkorea.net : 하명진내과 칼럼 #214 & #215; 비만증 치료 & 폭식 장애.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LA코리아(www.la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66 족근관증후군 (Tarsal Tunnel Syndrome: TTS).. Dr.하명진 8860 2015-01-04
165 과민성 방광 (Over Active Bladder).. Dr.하명진 8646 2014-10-27
164 신경성 장염 (Irritable Bowel Syndrome:IBS).. Dr.하명진 9121 2014-10-21
163 에볼라 바이러스 질병 최근소식(Ebola Virus Disease:EVD update).. Dr.하명진 8686 2014-10-12
162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Dr.하명진 8161 2014-10-10
161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pdated.. Dr.하명진 8633 2014-09-26
160 엔테로 바이러스 호흡기 질환(Enterovirus D68:EV-D68,infection).. Dr.하명진 9195 2014-09-15
159 쯔쯔가무시병(Orienta Tsutsugamushi,Scrub Typhus disease).. Dr.하명진 9983 2014-09-09
158 루게릭 병(Lou Gehrig's Disease=ALS: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Dr.하명진 9208 2014-09-02
157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ITP;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s).. Dr.하명진 9032 2014-08-26
156 진성 적혈구 증가증 (Polycythemia Vera).. Dr.하명진 10922 2014-08-18
155 [선교] 아이티 단기 의료 선교 (8월 4일~8월 9일) Dr.하명진 8460 2014-08-14
154 열사병/일사병(Heat stroke/Heat exhaustion) Dr.하명진 9669 2014-08-01
153 에볼라 유행성 출혈열(Ebola Hemorrhagic Fever; EHF/ Ebola Virus Disease;EVD) [4] Dr.하명진 12123 2014-07-31
152 고산병/고소병(High mountain illness/High altitude Sickness) Dr.하명진 10022 2014-07-31
151 홍역(Measles,Rubeola) [1] Dr.하명진 12081 2014-07-23
150 수두 (Chicken pox,Varicella) Dr.하명진 9311 2014-07-17
149 파상풍(Tetanus) Dr.하명진 9889 2014-07-10
148 (notice)Travel Health Slideshow: Vaccines & Preventing Diseases Abroad Dr.하명진 10170 2014-07-10
147 소아마비(Poliomyelitis) Dr.하명진 10127 2014-07-03
146 광견병(Rabies) Dr.하명진 10825 2014-06-27
145 세균성 이질(Shigellosis) Dr.하명진 9658 2014-06-19
144 장티푸스(Typhoid fever)와 살모넬라 식중독(Salmonellosis) Dr.하명진 9635 2014-06-12
143 Chikungunya Fever (CF,치쿤구니아 열) Dr.하명진 10466 2014-06-09
142 콜레라 (Cholera) Dr.하명진 10799 2014-06-06
141 전염성 간염(Hepatitis A) Dr.하명진 10456 2014-05-28
140 말라리아 (학질: Malaria) Dr.하명진 10375 2014-05-23
139 황열(Yellow fever) Dr.하명진 10075 2014-05-12
138 중동 호흡기 증후군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Dr.하명진 10107 2014-05-06
137 구강 알러지 (Oral Allergy Syndrome) [1] Dr.하명진 11403 2014-04-28
1 | 2 | 3 | 4 | 5 | 6 | 7 | 8 | 9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신경성 대식증 (Bulimia Nervosa)...
글 작성자 Dr.하명진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센터문의, Tel: 대표 201-674-5611

E-mail: lakorea77@gmail.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LA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LA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