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폐렴의 10가지 증상(10 Common symptoms of Pneumonia)
작성자: Dr.하명진
조회: 10644 등록일: 2015-06-12
폐렴의 10 가지 증상 (10 Common symptoms of Pneumonia)
최근 중동에서 발생했던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즉 중동호흡기증후군이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처음으로 2012 년에 발생한 이후에 한국에서 두번째로 많이 메르스가 발생하여한국호흡기증후군, 즉 Korea Respiratory Syndrome(KORS) 즉 코레스 라고도 부른다 . 미국 의사에게 고열의 감기 환자에 아라비아 반도나 한국을 방문한 경우가 있는지를 문진 하도록하여 혹시나 메르스 유입에 대한 검역에 신경을 전세계가 많이 쓰고 있는 실정이다 . 아직도 4 주째 한국에서 메르스 즉 중동호흡기증후군(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환자가 발병하여 6/12/2015 현재 39 세 임산부를 포함한 127 명의 메르스 환자가 거의 한국 전역에서 확진 되었고 현재까지 11 명의 메르스 환자가 메르스 폐렴의 합병증으로 사망하게 되어 방역 당국이 긴장하고 있고 모든 폐렴 환자에게 메르스 전수 PCR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메르스 환자와 근접 접촉한 3,680 명의 환자가 격리를 하고 있는 실정으고 처음으로 10 세 미만의 아동이 경기도 성남시에서 메르스를 앓고 있는 아버지로 부터 4 차 감염이 의심되어 방역 당국을 초긴장 시키고 있다. 하지만 격리중에 예측된 경우였고 차차 감염자수가 감소 추세이고 검역과 방역이 체계화 되어앞으로 1-2 주가 고비가 될것이다. 아직까지는 공기로 감염된 case 는 한 건도 없고 학계에서도 메르스는 감기 처럼 공기 감염이 되지 않는것으로 확신 하고 있고 5 천만 국민 중에 겨우 127 명이 한 달에 발생한 것과 검역과 방역이 체계화 되는것을 보면 크게 불안할 필요는 없는것으로 본다 . 또한 배달 사고로 살아 있는 탄저균이 한국 미군에 보내져 흡입 탄저병에 대한 관심과 메르스 폐렴이퍼지면서 혹시나 폐렴에 걸리지 않았는가? 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었고 메르스에 대한 공포로 병원 가는것을 두려워 하는 추세 이다. 그러므로 하기의 폐렴의 10 가지 증상을 유념하고 폐렴의 원인, 증상, 치료, 그리고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폐렴은 폐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 이다. 메르스도 일종의 폐렴인 호흡기 증후군으로 중동 감기의 일종이다. 대부분 폐렴은 사망으로 이를수 있는 심각한 질병으로 입원하여 치료하는 경우가 많으며 종류도 다양하다. 폐렴의 종류: 메르스, 중동호흡기증후군 외에 하기와 같이 다른 종류들의 폐렴이 훨씬 더 많다. 1: 요사이 날씨가 더워 지면서 에어컨을 사용하며 냉방병(Legionaires)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냉방병은 에어컨의 필터에서 존재하는 Legionella 균이 central air condition 을 통해 전염되어오는 일종의 여름 감기로 밖의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가 5-10 도 이상 차이가 날때 발생하고 치료를 적당히 하지 못하면 폐렴으로 사망 할수도 있다. 오염된 Central air-con 에서 전염된다 . 2: 학교나 직장에서 옮겨지는 Community associated pneumonia. 대부분 박테리아가 원인이다. 3: 병원이나 양노원에서 옮거나 의료 종사자에게 오는 Healthcare associated pneumonia, 4: 약한 형태의 폐렴인 Mycoplasma 폐렴, 즉 경미하여 walking pneumonia 라고도 부른다. 5: 면역결핍 환자인 AIDS 환자에 오는 곰팡이에 의한 pneumocystis Carini 폐렴, 6: 간질 환자나 중풍환자의 구토물 기관지 흡입으로 오는 Aspiration pneumonia, 7: 그리고 요사이 증가추세에 있는 결핵성 폐렴. 8: 메르스 즉 중동호흡기 증후군과 사스(SARS) Corona 바이러스로 오는 폐렴 등등. 폐렴의 종류가 매우 많음으로 다음과 같은 10 가지 폐렴 증상을 유념하여야 한다. 만약 다음과 같은 폐렴 증세가 나타나면 즉시 주치의의 진찰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메르스 의심시 메르스 신고 hot line 인 #109 로 전화하여 신고하고 도움을 받아야 한다. 폐렴의 10 가지 증상: 1: 기침(Cough): 폐렴시 항상 기침은 동반하고 가래가 thick green mucus 로 나오기도 하며노란색의 고름 같이 나오기도 한다. 때론 점액 거품 같이 나오기도 한다 . 2: 고열(fever): 세균의 감염의 sign 으로 나타나지만 폐렴의 정도에 무관하게 나타난다. 독감(Influenza) 시에는 102F 이상의 고열이 나타나기도 한다. 메르스 환자의90% 에서 섭씨 38 도 이상의 고열이 나타났다 . 3: 오한(Chills): 폐의 깊은곳까지 세균이 퍼졌음을 의미 하지만 독감시에도 고열과 함께 나타난다. 4: 호흡곤란(Breathing problems): 세균이 폐조직에 퍼짐으로 충혈과 고름으로 sponge 같은폐포에서 산소 교환을 잘 못하여 호흡곤란을 초래하고 영아에서는 음식섭취 장애 , (Ingestion problem), 노약자에게는 인지장애(Cognitive problem) 를 동반한다. 5: 가슴통증(Chest pain or Thoracic pain): Heart burn 같이 오기도 하고 호흡시 또는 기침이가슴 통증을 악화 시킨다 . 6: 심장 이상(Abnormal Cardiac activity): 산소 교환의 장애로 협심증의 악화, 부정맥, 심장마비, 뇌졸증도 초래할수 있다. 산소포화도(Oxygen saturation) 감소를 초래한다. 7: 피곤증과 무력증(Fatigue & malaise): 세균과 싸우면서 에너지를 상실하여 심하게 피곤하며무기력하게 된다 . 8: 소화기관 이상(Digestive problems): 입맛 상실, 소화불량, 설사, 위통, 탈수증이 올수 있다. (Poor appetite,Indigestion,diarrhea,upset stomach & dehydration). 9: 오심과 구토(Nausea & vomiting): 폐렴이 악화되며 오심과 구토도 동반된다. 10: 혈담(Blood in the mucus;hemoptysis): 가래에 피가 석여 나오며 심한 기침도 동반한다. (Hacking cough with bloody mucus:Hemoptysis). 폐렴의 원인: 박테리아, 바이러스,Legionella 균,Mycoplasma 균, 곰팡이, 결핵균등 다양하다. 1: 박테리아: 대부분 Streptococcus Pneumoniae( 폐렴 연쇄상구균) 그외 Staphylococcus ( 포도상구균),Mycoplasma Pneumoniae:walking pneumonia 즉 경미한 폐렴을 일으킨다냉방병을 일으키는 Legionella 균도 에어컨 filter 에서 증식되어 폐렴을 일으킬수 있다 . 흡입 탄저병도 Gram 양성 간균 박테리아 탄저균에 의한 폐렴을 일으킨다. 2: 바이러스: 독감을 일으키는 Influenza A virus 도 폐렴을 일으키고 RSV(Respiratory Syncytial virus) 도 폐렴을 일으킬수 있다. 또한 요사이 한국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메르스 즉중동호흡기 증후군도 SARS virus 와 유사한 Corona virus 에 의한 폐렴을 일으킨다 . AIDS 환자나 장기 이식 환자에서 Cytomegalovirus(CMV) 도 폐렴을 일으킨다. 3: 곰팡이: AIDS 환자나 면역 결핍 환자에게 Pneumocystis jiroveci( 전에는 Pneumocystis Carini 로 알려진 곰팡이) 도 곰팡이성 폐렴을 일으킬수 있다. 4: 결핵균: 요사이 결핵균이 의한 폐렴이 증가 추세에 있다. 잠복기: 일반적으로 잠복기 1-14 일후 증상이 나타나며 다음과 같이 전염 된다. 탄저병은 잠복기가 60 일 까지도 가능하다. 전염 경로: 폐렴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양하다. 1: 감염된 공기 먼지(infected air particle) 가 폐로 흡입되어 감염을 일으킨다. 2: 코나 목에서 세균이 잠 잘때 폐로 유입되어 폐렴을 일으킨다. 3: 감기 즉 상기도염증(Upper Respiratory Infection) 또는 독감(Flu) 중이거나 후에 폐렴이 온다. 4: 홍역(Measle), 수두(Chicken pox) 의 합병증으로 폐렴이 올수 있다. 5: 간질이나 뇌졸중시 음식을 흡입하여 음식이 기도로 들어가Aspiration pneumonia 를 일으킨다. 6: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환자에서 폐렴이 많다. 7: 메르스 중동호흡기 증후군은 감염된 환자와 근접 접촉시 대부분 병원내 또는 응급실에서 전염된다. 8: 호흡기 탄저병은 탄저균 포자가 인체에 호흡기로 흡입되어 활성화 되어 독(toxin) 을 분비하여 폐렴을일으키며 치사율이 85-90% 로 매우 높다 . 폐렴의 진단: 주치의의 검진, 혈액, 객담검사 균 배양,X-Ray 등으로 쉽게 진단이 가능하다. 1: 가슴 X-Ray: 가슴 X-Ray 로 쉽게 세균의 infiltration( 침윤) 으로 쉽게 진단할수 있다. 2: 가래 배양(Sputum culture) 로 세균의 종류와 가장 잘듣는 항생제를 알아낼수 있다. 3: 혈액검사 즉 CBC(Complete Blood count) 로 박테리아 염증시에는 백혈구가 증가. (Neutrophilia) 와 독감 같은 바이러스 염증시에는 백혈구 감소(Leukopenia) 와 임파구상승을 볼수 있어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된다 . 4: 결핵시에는 결핵 피부 반응검사(Tuberculin skin test;PPD) 가 양성, 즉 9mm 이상의 반점과붓게됨(induration) 이 나타나고 적혈구 침강속도(ESR) 이 증가하고 전형적인 가슴 X-Ray 소견과 가래 AFB stain 으로 결핵균을 밝힐수 있고 배양으로 확진한다. 결핵이 의심되면입원하여 격리하여 치료하고 법정 전염병이므로 보험이 없어도 무료로 치료를 받을수 있다 . 5: 독감(Influenza) 은 독감환자와 접촉한 병력과 FACTS 즉 Fever: 고열(fever>102F), A:Ache( 두통, 몸살, 근육통),C:Chill( 오한),T:Tiredness( 피곤증) 그리고 S:sudden onset ( 갑자기 발병) 의 증상으로 오므로 48 시간 이내면 Tamiflu75mg 하루 2 번 투여하여야 한다.. 7: AIDS 환자같이 면역결핍 환자에서는 가래의 곰팡이 배양으로 곰팡이 를 확인할수록 있다. 8: 간단한 가래의 Gram stain 염색으로 현미경으로 구군, 간균 곰팡이 등을 현미경으로 보아 예측가능하여 치료에 도움을 줄수있다 . 9: Arterial gas 검사로 동맥내의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여 폐렴의 경중을 알아내고 산소 치료 여부를 결정한다. 10: 메르스는 환자의 가래나 분비물, 혈액 검사에서 메르스균 항체를 찾아내거나(PCR) MERS Co- Virus 를 유전자 배양 분석으로 찾아내 확진 한다. 폐렴의 치료: 우선 절대 안정과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고 폐렴 종류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한다. 1: 박테리아 가래 배양 결과에 따라 가장 sensitive 한 항생제로 치료한다. 일반적으로Levaquin,Zithromax,Erythromycin 등으로 치료한다. 요사이 페니시린에 내성이 생긴 Methicilline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가 많아져 배양시 가장 Sensitive 한 항생제를 발견할때 까지 Levaquin 이나 Zithromax 항생제로 우선 치료 하는 경우가 많다. 소아와 임산부에서는 가장 안전한 Amoxil 을 많이 사용하는 실정이다 . 2: 독감 의심이 가고 고열이 48 시간이 지나지 않으면 Tamiflu 75mg 하루 2 번 5 일간 복용하면증세의 악화를 막고 예방 또한 도움을 준다. Relenza 코 흡입제도 사용한다. 단지 Flu 증상 48 시간내에 사용 하여야만 한다. 예방적으로 사용시에는 용량을 반으로 사용한다 . 3: 해열제로 Tylenol 이나 Advil 로 열을 내려준다. 아스피린은 드물게 뇌막염이나 지방간을일으키는 Reye's syndrome 을 일으킬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 4: 수분 즉 카페인이 없고 탄산이 없는 수액 즉 보리차, 꿀차, 물,Pedialyte, 등을 하루 6-8 잔의수액을 섭취한다 . 5: 기침시에는 OTC cough syrup 으로 기침을 억제하지만 효과를 보지 못하면 주치의의 처방으로 기침을 치료한다 . 6: 입으로 섭취 할수 없을때는 입원하여 혈관으로 수액을 투여한다.(Intra venous hydration). 7: Wheezing 과 함께 호흡 곤란시에는 Nebulizer 에 기관지 확장제를 넣어 흡입하는 치료와 산소포화도가 90% 미만이면 입원하여 산소 공급으로 치료하기도 한다8: 대부분 2-3 주간 치료가 필요하다 . 9: 탈수가 심하고 입으로 수분의 섭취가 불가능 할때는 입원하여 정맥으로 전해질 수액치료를받아야 한다 .(Intra venous hydration) 10: 대부분의 메르스를 위시한 바이러스성 폐렴은 특별한 치료 방법이 없고 증상에 대한 대증요법과Supportive 보조요법 밖에 없다 . 11: 바이러스성 폐렴 치료에 인터페론이나 리바비린 같은 항 바이러스 약으로 효과를 보기도 한다폐렴이 걸리기 쉬운 고 위험군(High risks of Pneumonia); 입원하여 초기 집중 치료가 필요하다 . 1: Smoking Cigarrets ( 흡연)-> 만성 기관지병(Chronic Bronchitis)-> 폐렴(Pneumonia). 2: 천식(Asthma) 또는 만성패쇄성폐질환(COPD) patient. 3: infant less than 1yr old or adult grater than 64 yr old(1 세 전 영아 또는 65 세 이상 성인). 4: 면역상태 결핍자( 항암치료자,AIDS,etc):impaired immune system. 5: Prilosec,Nexium,Prevacid 같은 PPI(Proton Pump Inhibitors) 복용자( 위산분비를 억제하여 세균 살균작용을 저하 시킴으로 폐렴군의 증식을 도와 폐렴에 더 잘 걸리게 된다 . 6: 비장(Spleen) 기능이 약화되거나 비장적출술(Splenectomy) 받은자. 7: 음주를 많이 하는자(Heavy drinking alcohol). 8: 당뇨병(Diabetes), 신장병(Kidney disease) 기타 만성 질환(Chronic disease) 의사를 찾거나 병원에 입원을 하여야 하는 경우; 1: 가슴 통증(Chest pain): 혹시나 협심증에서 오는 가슴통증 일수 있으므로 40 세 이후 명치뒤의답답한 통증시에는 즉시 주치의의 진찰과 심전도(EKG) 로 협심증 인지 확인하여야 한다 . 2: 호흡곤란(Shorness of breathing): 폐기종(Pneumothorax),Pleural effusion( 늑막물고임) Pulmonary embolism 등의 다른 원인으로도 숨이 찰수 있기 때문이다. 3: 각혈(Hemoptysis) 시에는 기관지 혈관 이상, 폐결핵, 폐암, 기관지 암, 심장병, 혈액암 등 심각한 질환 가능성이 있으므로 최소한 가슴 X-Ray 나 CAT scan of chest 는 꼭 필요하다. 4: 어지럽고 기절할듯 힘이 없는경우 탈수나 심각한 합병증의 sign 일수 있다. 5: 4 주 이상 증상이 계속될때 만성적인 다른 폐 질환이 있을수 있기 때문에 꼭 의사를 찾아야 한다. 6: 메르스 가 발병한 병원을 방문한 후에 또는 메르스 의심 환자와 접촉후 고열이 나고 몸살기운이 있을때 메르스에 감염될수 있으므로 우선 격리하고 메르스 PCR 정밀검사가 필요하다. ( 메르스 무료 hot line #109 전화로 문의 가능). 예방: 예방 백신 접종등의 예방이 최상의 의학이다. 1: 폐렴 예방접종 :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PCV) 65 세 이상 시니어에 필요하고50 세 이후의 면역 결핍자나 만성 질환자에게 필요하다. 때론 PPSV(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도 사용하고 드물게 두가지를 접종받는 경우도 있다. 2: 독감예방접종(Influenza vaccine) 매년 가을에 다시 맞아야 한다. 돌연변이에 의하여 새로운 독감 바이러스가 매년 새로 생겨나기 때문이다. 3: 홍역(Measle) 과 수두(Chicken pox) 예방주사로 홍역과 수두의 합병증으로 오는 폐렴을예방할수 있다 . 4: 후진국의 결핵이 많이 발생하는곳에 가려면 BCG 주사로 결핵을 예방할수도 있고 대부분한인들은 이미 BCG 주사를 어려서 맞아 결핵에 면역된 분들이 많지만 요사이 결핵 환자가 미국에서도 증가 추세에 있으므로 결핵 피부 반응검사(PPD) 로 감염과 면역 상태를 알수있다 . 5: 외출후 또는 방과후 양치와 손을 2 분 이상 비누로 깨끗이 닦는 습관을 갖는것이 가장 중요하다. 6: 메르스가 발생한 병원을 피하고 메르스가 의심되는 환자를 격리하고 접촉을 삼간다. 7: 섭씨 38 도 이상의 고열과 기침시에는 마스크를 착용하여 균의 전파를 막고 마스크가 없을때는 팔로 기침을 막거나 휴지로 세균의 전파를 가능한 막아야 하고 다른 사람과의 근접 접촉은 피하고 학교나 직장은 가지 않도록 한다. 8: 메르스, 탄저병, 사스(SARS) 등의 전염성이 강한 폐렴 환자 접촉시 방호복을 입고 음압 입원실에격리 히여 치료 한다. 현재 메르스에 대한 예방 백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9: 가능한 손을 눈이나 코, 입에 touch 하지 않도록 한다. 도움 & references: "pneumonia" 검색으로 도움을 얻을수 있다. 1: webmd.com 2: American Lung Association ; lungusa.org 3: newyorkkorea.net->health-> 하명진내과칼럼; #92: 폐렴,#108: 냉방병,#57: 폐결핵4: CDC.gov 5: CDC.go.kr 6: mers.go.kr 7: www.0404.go.kr
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
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
미국의사 면허
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
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
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
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
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
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
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
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
Tel: 718-353-5730
E-mail : jjed1975@optonline.net
[ⓒ LA코리아( www.la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br></p><p><br></p><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span style='color: rgb(51, 51, 51); 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 size="5"><strong>폐렴의<span lang="EN-US"> 10</span>가지 증상</strong></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strong><font size="5">(10 Common symptoms of Pneumonia)</font></strong></span></font></font></span></p><p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200%;"><span style='color: rgb(51, 51, 51); line-height: 200%;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ascii-theme-font: minor-fareast; mso-hansi-theme-font: minor-fareast; mso-bidi-font-family: Arial;'><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strong><font size="5"></font></strong><br><br></span>최근 중동에서 발생했던<span lang="EN-US">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span>즉 중동호흡기증후군이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처음으로<span lang="EN-US"> 2012</span>년에 발생한 이후에 한국에서 두번째로 많이 메르스가 발생하여</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한국호흡기증후군<span lang="EN-US">, </span>즉<span lang="EN-US"> Korea Respiratory Syndrome(KORS) </span>즉 코레스 라고도 부른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span>미국 의사에게 고열의 감기 환자에 아라비아 반도나 한국을 방문한 경우가 있는지를 문진 하도록</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하여 혹시나 메르스 유입에 대한 검역에 신경을 전세계가 많이 쓰고 있는 실정이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span>아직도<span lang="EN-US"> 4</span>주째 한국에서 메르스 즉 중동호흡기증후군</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br></span>환자가 발병하여<span lang="EN-US"> 6/12/2015 </span>현재<span lang="EN-US"> 39</span>세 임산부를 포함한<span lang="EN-US"> 127 </span>명의 메르스 환자가 거의 한국 전역에서</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span>확진 되었고 현재까지<span lang="EN-US"> 11 </span>명의 메르스 환자가 메르스 폐렴의 합병증으로 사망하게 되어 방역 당국이</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span>긴장하고 있고 모든 폐렴 환자에게 메르스 전수<span lang="EN-US"> PCR </span>검사를 실시하고 있다<span lang="EN-US">. </span>또한 메르스 환자와 근접</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span>접촉한<span lang="EN-US"> 3,680</span>명의 환자가 격리를 하고 있는 실정으고 처음으로<span lang="EN-US"> 10</span>세 미만의 아동이 경기도 성남시에서</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span>메르스를 앓고 있는 아버지로 부터<span lang="EN-US"> 4</span>차 감염이 의심되어 방역 당국을 초긴장 시키고 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span>하지만 격리중에 예측된 경우였고 차차 감염자수가 감소 추세이고 검역과 방역이 체계화 되어</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앞으로<span lang="EN-US"> 1-2</span>주가 고비가 될것이다<span lang="EN-US">. </span>아직까지는 공기로 감염된<span lang="EN-US"> case</span>는 한 건도 없고 학계에서도</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메르스는 감기 처럼 공기 감염이 되지 않는것으로 확신 하고 있고<span lang="EN-US"> 5</span>천만 국민 중에 겨우<span lang="EN-US"> 127</span>명이</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한 달에 발생한 것과 검역과 방역이 체계화 되는것을 보면 크게 불안할 필요는 없는것으로 본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span>또한 배달 사고로 살아 있는 탄저균이 한국 미군에 보내져 흡입 탄저병에 대한 관심과 메르스 폐렴이</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퍼지면서 혹시나 폐렴에 걸리지 않았는가<span lang="EN-US">?</span>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었고 메르스에 대한 공포로 병원</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span>가는것을 두려워 하는 추세 이다<span lang="EN-US">. </span>그러므로 하기의 폐렴의<span lang="EN-US"> 10 </span>가지 증상을 유념하고 폐렴의 원인</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span>증상<span lang="EN-US">,</span>치료<span lang="EN-US">,</span>그리고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span>폐렴은 폐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 이다<span lang="EN-US">. </span>메르스도 일종의 폐렴인 호흡기 증후군으로 중동 감기의 일종이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span>대부분 폐렴은 사망으로 이를수 있는 심각한 질병으로 입원하여 치료하는 경우가 많으며 종류도 다양하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span>폐렴의 종류<span lang="EN-US">: </span>메르스<span lang="EN-US">,</span>중동호흡기증후군 외에 하기와 같이 다른 종류들의 폐렴이 훨씬 더 많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1: </span>요사이 날씨가 더워 지면서 에어컨을 사용하며 냉방병<span lang="EN-US">(Legionaires) </span>환자가 발생하고 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span>냉방병은 에어컨의 필터에서 존재하는<span lang="EN-US"> Legionella </span>균이<span lang="EN-US"> central air condition</span>을 통해 전염되어</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오는 일종의 여름 감기로 밖의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가<span lang="EN-US"> 5-10</span>도 이상 차이가 날때 발생하고</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치료를 적당히 하지 못하면 폐렴으로 사망 할수도 있다<span lang="EN-US">. </span>오염된<span lang="EN-US"> Central air-con </span>에서 전염된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2: </span>학교나 직장에서 옮겨지는<span lang="EN-US"> Community associated pneumonia.</span>대부분 박테리아가 원인이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3: </span>병원이나 양노원에서 옮거나 의료 종사자에게 오는</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Healthcare associated pneumonia,<br> 4: </span>약한 형태의 폐렴인<span lang="EN-US"> Mycoplasma </span>폐렴<span lang="EN-US">,</span>즉 경미하여<span lang="EN-US"> walking pneumonia</span>라고도 부른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5: </span>면역결핍 환자인<span lang="EN-US"> AIDS </span>환자에 오는 곰팡이에 의한<span lang="EN-US"> pneumocystis Carini </span>폐렴</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6: </span>간질 환자나 중풍환자의 구토물 기관지 흡입으로 오는</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Aspiration pneumonia, <br> 7: </span>그리고 요사이 증가추세에 있는 결핵성 폐렴</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8: </span>메르스 즉 중동호흡기 증후군과 사스<span lang="EN-US">(SARS) Corona </span>바이러스로 오는 폐렴 등등</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span>폐렴의 종류가 매우 많음으로 다음과 같은<span lang="EN-US"> 10</span>가지 폐렴 증상을 유념하여야 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span>만약 다음과 같은 폐렴 증세가 나타나면 즉시 주치의의 진찰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span>메르스 의심시 메르스 신고<span lang="EN-US"> hot line</span>인<span lang="EN-US"> #109</span>로 전화하여 신고하고 도움을 받아야 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span>폐렴의<span lang="EN-US"> 10</span>가지 증상</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1: </span>기침<span lang="EN-US">(Cough): </span>폐렴시 항상 기침은 동반하고 가래가<span lang="EN-US"> thick green mucus</span>로 나오기도 하며</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노란색의 고름 같이 나오기도 한다<span lang="EN-US">. </span>때론 점액 거품 같이 나오기도 한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2: </span>고열<span lang="EN-US">(fever): </span>세균의 감염의<span lang="EN-US"> sign</span>으로 나타나지만 폐렴의 정도에 무관하게 나타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span>독감<span lang="EN-US">(Influenza)</span>시에는<span lang="EN-US"> 102F </span>이상의 고열이 나타나기도 한다<span lang="EN-US">. </span>메르스 환자의</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90%</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에서 섭씨<span lang="EN-US"> 38</span>도 이상의 고열이 나타났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3: </span>오한<span lang="EN-US">(Chills): </span>폐의 깊은곳까지 세균이 퍼졌음을 의미 하지만 독감시에도 고열과 함께 나타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4: </span>호흡곤란<span lang="EN-US">(Breathing problems): </span>세균이 폐조직에 퍼짐으로 충혈과 고름으로<span lang="EN-US"> sponge </span>같은</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폐포에서 산소 교환을 잘 못하여 호흡곤란을 초래하고 영아에서는 음식섭취 장애</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Ingestion problem),</span>노약자에게는 인지장애<span lang="EN-US">(Cognitive problem)</span>를 동반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5: </span>가슴통증<span lang="EN-US">(Chest pain or Thoracic pain): Heart burn</span>같이 오기도 하고 호흡시 또는 기침이</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가슴 통증을 악화 시킨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6: </span>심장 이상<span lang="EN-US">(Abnormal Cardiac activity): </span>산소 교환의 장애로 협심증의 악화<span lang="EN-US">,</span>부정맥<span lang="EN-US">,</span>심장마비</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span>뇌졸증도 초래할수 있다<span lang="EN-US">. </span>산소포화도<span lang="EN-US">(Oxygen saturation) </span>감소를 초래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7: </span>피곤증과 무력증<span lang="EN-US">(Fatigue & malaise): </span>세균과 싸우면서 에너지를 상실하여 심하게 피곤하며</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무기력하게 된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8: </span>소화기관 이상<span lang="EN-US">(Digestive problems): </span>입맛 상실<span lang="EN-US">,</span>소화불량<span lang="EN-US">,</span>설사<span lang="EN-US">,</span>위통<span lang="EN-US">,</span>탈수증이 올수 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Poor appetite,Indigestion,diarrhea,upset stomach & dehydration).<br> 9: </span>오심과 구토<span lang="EN-US">(Nausea & vomiting): </span>폐렴이 악화되며 오심과 구토도 동반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10: </span>혈담<span lang="EN-US">(Blood in the mucus;hemoptysis): </span>가래에 피가 석여 나오며 심한 기침도 동반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Hacking cough with bloody mucus:Hemoptysis).<br><br></span>폐렴의 원인<span lang="EN-US">: </span>박테리아<span lang="EN-US">,</span>바이러스<span lang="EN-US">,Legionella</span>균<span lang="EN-US">,Mycoplasma</span>균<span lang="EN-US">,</span>곰팡이<span lang="EN-US">,</span>결핵균등 다양하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1: </span>박테리아<span lang="EN-US">: </span>대부분<span lang="EN-US"> Streptococcus Pneumoniae(</span>폐렴 연쇄상구균<span lang="EN-US">) </span>그외</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Staphylococcus<br> (</span>포도상구균<span lang="EN-US">),Mycoplasma Pneumoniae:walking pneumonia </span>즉 경미한 폐렴을 일으킨다</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냉방병을 일으키는<span lang="EN-US"> Legionella </span>균도 에어컨<span lang="EN-US"> filter</span>에서 증식되어 폐렴을 일으킬수 있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span>흡입 탄저병도<span lang="EN-US"> Gram </span>양성 간균 박테리아 탄저균에 의한 폐렴을 일으킨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2: </span>바이러스<span lang="EN-US">: </span>독감을 일으키는<span lang="EN-US"> Influenza A virus</span>도 폐렴을 일으키고</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RSV(Respiratory <br> Syncytial virus)</span>도 폐렴을 일으킬수 있다<span lang="EN-US">. </span>또한 요사이 한국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메르스 즉</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중동호흡기 증후군도<span lang="EN-US"> SARS virus </span>와 유사한<span lang="EN-US"> Corona virus</span>에 의한 폐렴을 일으킨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AIDS </span>환자나 장기 이식 환자에서<span lang="EN-US"> Cytomegalovirus(CMV)</span>도 폐렴을 일으킨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3: </span>곰팡이<span lang="EN-US">: AIDS </span>환자나 면역 결핍 환자에게<span lang="EN-US"> Pneumocystis jiroveci(</span>전에는</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Pneumocystis<br> Carini</span>로 알려진 곰팡이<span lang="EN-US">)</span>도 곰팡이성 폐렴을 일으킬수 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4: </span>결핵균<span lang="EN-US">: </span>요사이 결핵균이 의한 폐렴이 증가 추세에 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span>잠복기<span lang="EN-US">: </span>일반적으로 잠복기<span lang="EN-US"> 1-14</span>일후 증상이 나타나며 다음과 같이 전염 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span>탄저병은 잠복기가<span lang="EN-US"> 60</span>일 까지도 가능하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span>전염 경로<span lang="EN-US">: </span>폐렴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양하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1: </span>감염된 공기 먼지<span lang="EN-US">(infected air particle)</span>가 폐로 흡입되어 감염을 일으킨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2: </span>코나 목에서 세균이 잠 잘때 폐로 유입되어 폐렴을 일으킨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3: </span>감기 즉 상기도염증<span lang="EN-US">(Upper Respiratory Infection) </span>또는 독감<span lang="EN-US">(Flu)</span>중이거나 후에 폐렴이 온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4: </span>홍역<span lang="EN-US">(Measle),</span>수두<span lang="EN-US">(Chicken pox)</span>의 합병증으로 폐렴이 올수 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5: </span>간질이나 뇌졸중시 음식을 흡입하여 음식이 기도로 들어가<span lang="EN-US">Aspiration pneumonia</span>를 일으킨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6: </span>만성폐쇄성폐질환<span lang="EN-US">(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span>환자에서 폐렴이 많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7: </span>메르스 중동호흡기 증후군은 감염된 환자와 근접 접촉시 대부분 병원내 또는 응급실에서 전염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8: </span>호흡기 탄저병은 탄저균 포자가 인체에 호흡기로 흡입되어 활성화 되어 독<span lang="EN-US">(toxin)</span>을 분비하여 폐렴을</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일으키며 치사율이<span lang="EN-US"> 85-90%</span>로 매우 높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span>폐렴의 진단<span lang="EN-US">: </span>주치의의 검진<span lang="EN-US">,</span>혈액<span lang="EN-US">,</span>객담검사 균 배양<span lang="EN-US">,X-Ray </span>등으로 쉽게 진단이 가능하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1: </span>가슴<span lang="EN-US"> X-Ray: </span>가슴<span lang="EN-US"> X-Ray</span>로 쉽게 세균의<span lang="EN-US"> infiltration(</span>침윤<span lang="EN-US">)</span>으로 쉽게 진단할수 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2: </span>가래 배양<span lang="EN-US">(Sputum culture)</span>로 세균의 종류와 가장 잘듣는 항생제를 알아낼수 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3: </span>혈액검사 즉<span lang="EN-US"> CBC(Complete Blood count)</span>로 박테리아 염증시에는 백혈구가 증가<span lang="EN-US">. (Neutrophilia)</span>와 독감 같은 바이러스 염증시에는 백혈구 감소<span lang="EN-US">(Leukopenia)</span>와 임파구상승</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을 볼수 있어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된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4: </span>결핵시에는 결핵 피부 반응검사<span lang="EN-US">(Tuberculin skin test;PPD)</span>가 양성<span lang="EN-US">,</span>즉<span lang="EN-US"> 9mm </span>이상의 반점과</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붓게됨<span lang="EN-US">(induration)</span>이 나타나고 적혈구 침강속도<span lang="EN-US">(ESR)</span>이 증가하고 전형적인 가슴</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X-Ray<br></span>소견과 가래<span lang="EN-US"> AFB stain</span>으로 결핵균을 밝힐수 있고 배양으로 확진한다<span lang="EN-US">. </span>결핵이 의심되면</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입원하여 격리하여 치료하고 법정 전염병이므로 보험이 없어도 무료로 치료를 받을수 있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5: </span>독감<span lang="EN-US">(Influenza)</span>은 독감환자와 접촉한 병력과<span lang="EN-US"> FACTS </span>즉<span lang="EN-US"> Fever:</span>고열</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fever>102F),<br> A:Ache(</span>두통<span lang="EN-US">,</span>몸살<span lang="EN-US">,</span>근육통<span lang="EN-US">),C:Chill(</span>오한<span lang="EN-US">),T:Tiredness(</span>피곤증<span lang="EN-US">) </span>그리고</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S:sudden onset<br> (</span>갑자기 발병<span lang="EN-US">)</span>의 증상으로 오므로<span lang="EN-US"> 48</span>시간 이내면<span lang="EN-US"> Tamiflu75mg </span>하루<span lang="EN-US"> 2</span>번 투여하여야 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7: AIDS </span>환자같이 면역결핍 환자에서는 가래의 곰팡이 배양으로 곰팡이 를 확인할수록 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8: </span>간단한 가래의<span lang="EN-US"> Gram stain</span>염색으로 현미경으로 구군<span lang="EN-US">,</span>간균 곰팡이 등을 현미경으로 보아 예측</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가능하여 치료에 도움을 줄수있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9: Arterial gas </span>검사로 동맥내의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여 폐렴의 경중을 알아내고 산소 치료</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span>여부를 결정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10: </span>메르스는 환자의 가래나 분비물<span lang="EN-US">, </span>혈액 검사에서 메르스균 항체를 찾아내거나</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PCR) MERS Co-<br>Virus </span>를 유전자 배양 분석으로 찾아내 확진 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br></span>폐렴의 치료<span lang="EN-US">: </span>우선 절대 안정과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고 폐렴 종류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1: </span>박테리아 가래 배양 결과에 따라 가장<span lang="EN-US"> sensitive </span>한 항생제로 치료한다<span lang="EN-US">. </span>일반적으로</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Levaquin,Zithromax,Erythromycin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등으로 치료한다<span lang="EN-US">. </span>요사이 페니시린에 내성이 생긴</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Methicilline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가 많아져 배양시 가장</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Sensitive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한 항생제를 발견할때 까지<span lang="EN-US"> Levaquin </span>이나<span lang="EN-US"> Zithromax </span>항생제로 우선 치료</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하는 경우가 많다<span lang="EN-US">. </span>소아와 임산부에서는 가장 안전한<span lang="EN-US"> Amoxil </span>을 많이 사용하는 실정이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2: </span>독감 의심이 가고 고열이<span lang="EN-US"> 48</span>시간이 지나지 않으면<span lang="EN-US"> Tamiflu 75mg </span>하루<span lang="EN-US"> 2</span>번<span lang="EN-US"> 5</span>일간 복용하면</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증세의 악화를 막고 예방 또한 도움을 준다<span lang="EN-US">. Relenza </span>코 흡입제도 사용한다<span lang="EN-US">. </span>단지<span lang="EN-US"> Flu </span>증상</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48</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시간내에 사용 하여야만 한다<span lang="EN-US">. </span>예방적으로 사용시에는 용량을 반으로 사용한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3: </span>해열제로<span lang="EN-US"> Tylenol </span>이나<span lang="EN-US"> Advil </span>로 열을 내려준다<span lang="EN-US">. </span>아스피린은 드물게 뇌막염이나 지방간을</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일으키는<span lang="EN-US"> Reye's syndrome </span>을 일으킬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4: </span>수분 즉 카페인이 없고 탄산이 없는 수액 즉 보리차<span lang="EN-US">,</span>꿀차<span lang="EN-US">,</span>물<span lang="EN-US">,Pedialyte,</span>등을 하루<span lang="EN-US"> 6-8 </span>잔의</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수액을 섭취한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5: </span>기침시에는<span lang="EN-US"> OTC cough syrup </span>으로 기침을 억제하지만 효과를 보지 못하면 주치의의 처방</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으로 기침을 치료한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6: </span>입으로 섭취 할수 없을때는 입원하여 혈관으로 수액을 투여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Intra venous hydration).<br> 7: Wheezing</span>과 함께 호흡 곤란시에는<span lang="EN-US"> Nebulizer</span>에 기관지 확장제를 넣어 흡입하는 치료와</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span>산소포화도가 <span lang="EN-US">90% </span>미만이면 입원하여 산소 공급으로 치료하기도 한다</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8: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대부분<span lang="EN-US"> 2-3</span>주간 치료가 필요하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9: </span>탈수가 심하고 입으로 수분의 섭취가 불가능 할때는 입원하여 정맥으로 전해질 수액치료를</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받아야 한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Intra venous hydration)<br> 10: </span>대부분의 메르스를 위시한 바이러스성 폐렴은 특별한 치료 방법이 없고 증상에 대한 대증요법과</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Supportive </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보조요법 밖에 없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11: </span>바이러스성 폐렴 치료에 인터페론이나 리바비린 같은 항 바이러스 약으로 효과를 보기도 한다</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br></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폐렴이 걸리기 쉬운 고 위험군<span lang="EN-US">(High risks of Pneumonia); </span>입원하여 초기 집중 치료가 필요하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1: Smoking Cigarrets (</span>흡연<span lang="EN-US">)-></span>만성 기관지병<span lang="EN-US">(Chronic Bronchitis)-></span>폐렴</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Pneumonia).<br> 2: </span>천식<span lang="EN-US">(Asthma) </span>또는 만성패쇄성폐질환</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COPD) patient.<br> 3: infant less than 1yr old or adult grater than 64 yr old(1</span>세 전 영아 또는<span lang="EN-US"> 65</span>세 이상 성인</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4: </span>면역상태 결핍자<span lang="EN-US">(</span>항암치료자</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AIDS,etc):impaired immune system.<br> 5: Prilosec,Nexium,Prevacid </span>같은<span lang="EN-US"> PPI(Proton Pump Inhibitors)</span>복용자<span lang="EN-US">(</span>위산분비를 억제</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하여 세균 살균작용을 저하 시킴으로 폐렴군의 증식을 도와 폐렴에 더 잘 걸리게 된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6: </span>비장<span lang="EN-US">(Spleen) </span>기능이 약화되거나 비장적출술<span lang="EN-US">(Splenectomy)</span>받은자</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7: </span>음주를 많이 하는자</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Heavy drinking alcohol).<br> 8: </span>당뇨병<span lang="EN-US">(Diabetes),</span>신장병<span lang="EN-US">(Kidney disease) </span>기타 만성 질환</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Chronic disease)<br><br><br></span>의사를 찾거나 병원에 입원을 하여야 하는 경우</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br>1: </span>가슴 통증<span lang="EN-US">(Chest pain): </span>혹시나 협심증에서 오는 가슴통증 일수 있으므로<span lang="EN-US"> 40</span>세 이후 명치뒤의</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답답한 통증시에는 즉시 주치의의 진찰과 심전도<span lang="EN-US">(EKG)</span>로 협심증 인지 확인하여야 한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2: </span>호흡곤란<span lang="EN-US">(Shorness of breathing): </span>폐기종<span lang="EN-US">(Pneumothorax),Pleural effusion(</span>늑막물고임</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Pulmonary embolism </span>등의 다른 원인으로도 숨이 찰수 있기 때문이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3: </span>각혈<span lang="EN-US">(Hemoptysis)</span>시에는 기관지 혈관 이상<span lang="EN-US">,</span>폐결핵<span lang="EN-US">, </span>폐암<span lang="EN-US">,</span>기관지 암<span lang="EN-US">,</span>심장병<span lang="EN-US">,</span>혈액암 등 심각한 질환</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span>가능성이 있으므로 최소한 가슴<span lang="EN-US"> X-Ray </span>나<span lang="EN-US"> CAT scan of chest </span>는 꼭 필요하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4: </span>어지럽고 기절할듯 힘이 없는경우 탈수나 심각한 합병증의<span lang="EN-US"> sign </span>일수 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5: 4</span>주 이상 증상이 계속될때 만성적인 다른 폐 질환이 있을수 있기 때문에 꼭 의사를 찾아야 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6: </span>메르스 가 발병한 병원을 방문한 후에 또는 메르스 의심 환자와 접촉후 고열이 나고 몸살기운이</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span>있을때 메르스에 감염될수 있으므로 우선 격리하고 메르스<span lang="EN-US"> PCR </span>정밀검사가 필요하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 (</span>메르스 무료<span lang="EN-US"> hot line #109 </span>전화로 문의 가능</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span>예방<span lang="EN-US">: </span>예방 백신 접종등의 예방이 최상의 의학이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1: </span>폐렴 예방접종<span lang="EN-US"> :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PCV) 65</span>세 이상 시니어에 필요하고</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50</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세 이후의 면역 결핍자나 만성 질환자에게 필요하다<span lang="EN-US">. </span>때론</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PPSV(Pneumococcal <br> Polysaccharide vaccine)</span>도 사용하고 드물게 두가지를 접종받는 경우도 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2: </span>독감예방접종<span lang="EN-US">(Influenza vaccine) </span>매년 가을에 다시 맞아야 한다<span lang="EN-US">. </span>돌연변이에 의하여 새로운</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span>독감 바이러스가 매년 새로 생겨나기 때문이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3: </span>홍역<span lang="EN-US">(Measle)</span>과 수두<span lang="EN-US">(Chicken pox)</span>예방주사로 홍역과 수두의 합병증으로 오는 폐렴을</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예방할수 있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4: </span>후진국의 결핵이 많이 발생하는곳에 가려면<span lang="EN-US"> BCG </span>주사로 결핵을 예방할수도 있고 대부분</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한인들은 이미<span lang="EN-US"> BCG </span>주사를 어려서 맞아 결핵에 면역된 분들이 많지만 요사이 결핵 환자가</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미국에서도 증가 추세에 있으므로 결핵 피부 반응검사<span lang="EN-US">(PPD) </span>로 감염과 면역 상태를 알수있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5: </span>외출후 또는 방과후 양치와 손을<span lang="EN-US"> 2</span>분 이상 비누로 깨끗이 닦는 습관을 갖는것이 가장 중요하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6: </span>메르스가 발생한 병원을 피하고 메르스가 의심되는 환자를 격리하고 접촉을 삼간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7: </span>섭씨<span lang="EN-US"> 38</span>도 이상의 고열과 기침시에는 마스크를 착용하여 균의 전파를 막고 마스크가 없을때는 팔로</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span>기침을 막거나 휴지로 세균의 전파를 가능한 막아야 하고 다른 사람과의 근접 접촉은 피하고</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 <br></span>학교나 직장은 가지 않도록 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8: </span>메르스<span lang="EN-US">,</span>탄저병<span lang="EN-US">,</span>사스<span lang="EN-US">(SARS)</span>등의 전염성이 강한 폐렴 환자 접촉시 방호복을 입고 음압 입원실에</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font></span><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격리 히여 치료 한다<span lang="EN-US">. </span>현재 메르스에 대한 예방 백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9: </span>가능한 손을 눈이나 코<span lang="EN-US">, </span>입에<span lang="EN-US"> touch </span>하지 않도록 한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br></span>도움<span lang="EN-US"> & references: "pneumonia" </span>검색으로 도움을 얻을수 있다</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a0a0a"><span lang="EN-US">.<br>1: webmd.com<br> 2: American Lung Association ; lungusa.org<br> 3: newyorkkorea.net->health-></span>하명진내과칼럼<span lang="EN-US">; #92:</span>폐렴<span lang="EN-US">,#108:</span>냉방병<span lang="EN-US">,#57:</span>폐결핵</font></font><span lang="EN-US"><br><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4: CDC.gov<br> 5: CDC.go.kr<br> 6: mers.go.kr<br> 7: </font><a href="http://www.0404.go.kr/" target="_blank"><font color="#0a0a0a" face="맑은 고딕"><u>www.0404.go.kr</u></font></a></span></span></p><p><font color="#000000" face="Times New Roman" size="3"></font><br></p><p><br></p><p><br></p><p><br></p><p><br></p><p><img src="http://newyorkkorea.net/wysiwyg/PEG/W_1341339730.png"></p><p> </p><p></p><p><strong>Dr.하명진(James Myungchin Ha,MD.)</strong></p><p><strong><br></strong></p><p>카톨릭 의대 졸업(1977)한국의사 면허,</p><p>미국의사 면허</p><p>미국 Mt.Vernon Hospital 외과 인턴 수련</p><p>미국 병리학 전문의 (Downstate의대 부속 Brooklyn Hospital에서 해부 및 임상병리학 수련)</p><p>미국 내과학 전문의(Albert Einstein의대 부속 Flushing Hospital에서 내과 전문의 수련</p><p>현 하명진 내과 건강관리센터 원장</p><p>KAMHC(한미 기독 의료선교 협의회)뉴욕 이사</p><p>전: TKC TV내과 상담, 기독교TV 신앙과 건강 담당</p><p>당뇨병의 완전 정복 건강 Video 등 다수의 한국언론에 의료 칼럼 게재</p><p>CTS TV Documentary "행복"의 주인공</p><p><br></p><p><strong><font color="#ff9933">Tel: 718-353-5730</font></strong></p><p><strong><font color="#ff9933"><br></font></strong></p><p><strong><font color="#ff9933">E-mail : </font></strong><a href="mailto:jjed1975@optonline.net"><strong><font color="#ff9933"><u>jjed1975@optonline.net</u></font></strong></a></p><p> </p><p> </p><p> </p><p> </p><p> </p><p></p><p></p><p></p><p></p><p></p><p></p><p></p><p></p><p></p><p></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font-size: 11pt;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 LA<a>코리아(</a></font><a></a><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lakorea.net" target="_blank"><a></a><font color="#000000" size="3"><a></a>www.lakorea.net</font><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span></p>
회원정보
닉네임
Dr.하명진 (drjamesha)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