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력]
강희안 1965년 대전 출생. 배재대학교 국문과 졸업 및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 졸업. 1990년 [문학사상] 신인 발굴 당선으로 등단. 시집 [지나간 슬픔이 강물이라면] [거미는 몸에 산다] [나탈리 망세의 첼로], 저서 [현대문학의 이해와 감상] [석정 시의 시간과 공간] [문학의 논리와 실제] [새로운 현대시작법] [고독한 욕망의 윤리학] [새로운 현대시론] 등. 계간 [미네르바] 편집 위원. 배재대학교 출강.
[시인의 산문]
시는 말과 더불어 언어와 존재의 관계선을 넘나드는 즐거운 놀이 한마당이다. 말이 시의 기표라면 시의 말은 가변성을 전제로 이룩된다는 신념과 동일하다. 말이란 인간의 욕망과 세계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얼굴로 현전하기 때문이다. 보험 설계사가 ‘한 번만 넣어 주세요’라고 한 말이 화자의 문맥적 조율에 의해 성적으로 윤색되기도 하고, ‘간간’이 ‘짭짤하다(sault)’와 ‘종종(sometimes)’의 의미가 결합된 신조어 ‘saultimes’를 창안하기도 한다. ‘라면’의 구불거리는 습성과 ‘지휘자’의 파마머리에는 ‘상품’과 ‘예술’로 비틀린 모종의 음모가 깃들어 있다. ‘지휘자’와 ‘요리사’가 ‘젓가락’을 휘저을 때, 그 틈새를 벌리며 ‘관객’과 ‘손님’이 개입하는 형국이다.
시인은 열린 기호로 요약된 ‘○’의 미정성을 통해 ‘공인’이어도 좋고 ‘원인’이어도 좋고 ‘오인’이어도 무방한 완전한 언어를 꿈꾸기도 한다. 여러모로 차용하는 ‘떼다’란 말도 크게는 ‘버리다’와 ‘가져오다’ 사이에 있으므로 목을 잘라 떼며 잇는 창법과 통하는 격이다. 나아가 어떤 언어들은 바벨(바벨탑 언어)-라벨(자본주의 상표권)-아벨(선의 상징)-바벨(권력의 제도) 등으로 끝없이 미끄러져 가는 인류의 역사까지 현상하기도 한다. 따라서 언어는 시의 처음이자 마지막이며 알파이자 오메가이다. 시인의 언어에 대한 연상의 고리는 성의 욕망에서 비롯된 인류의 비전까지 관류한다. 말은 인간이 만들어 낸 문명의 지시 체계이자 감성의 상징체계이기 때문이다.
―강희안
[기획 위원 추천사]
강희안은 “검푸른 바벨의 언어”(<물고기 강의실>)를 꿈꾼다. 그가 쌓아 올리려는 “바벨”탑은 세상의 “언어”에서 완전히 독립한 시 공화국의 다른 이름이다. 그는 내계의 언어를 거부하고 외계의 언어로써 자신만의 “바벨”탑을 쌓아 올리고자 노련하게 노력한다. 그의 노련함은 (환)은유, 전도, 투사, 말장난, 자동기술, 풍자 등속을 자유로이 활용하는 데서 드러난다. “바벨”탑을 쌓아 올리면서 그는 하늘의 문, 절대적인 시의 문을 “똑똑”(하게) 두들겨 “문밖의 신”(<똑똑하다>)을 놀라게 한다. 이 놀라움은 세상의 낡은 “문”(文/門)을 새로운 “밖”으로 끌어내려는 그의 집요한 열망과 관계 깊다. 이 열망이 그의 시를 들끓게 한다.
―시작시인선 기획 위원 이형권(문학평론가, 충남대 교수)
[해설 중에서]
우리가 흔히 시에 붙여 두는 ‘서정’이라는 수사로부터, 가장 ‘정상적인 것’이라고 가정하는 시적인 ‘사유-이미지’(들뢰즈)들로부터 철저하게 거리를 둠으로써 나름의 모형, 나름의 시편들을 기괴하리만치 새롭게 우리의 책상 앞에 놓아두는, 언어를 “전횡”하는 시인. 강희안이라는 시인-언어 조립자로부터 우리가 만나는 시편은 그와 같이 초과와 미만 사이에서 길항하는 시적인 어떤 것들이다.
그 초과와 미만 사이의 길항을 필자는 ‘세속적’이라는 형용사로 바꾸어 부르고 싶다. 왜냐하면 그의 시는 뮤즈로부터 물려받은 언어의 신성한 권위를 부정하고, 기묘하게 조립할 수 있는 사물로서의 언어를 우리에게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시적인 것’과 결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에게 시는 은폐된 신(神)―존재에 의한 받아쓰기도 아니고, 초월로 향하는 존재 양식의 몸부림도 아니다. 그것들은 모두 서정의 신성성을 여전히 언어로 육화하고 있으며 배분되지 않은 감각을 추앙하도록 강요하는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노정한다. 하지만 강희안의 시는 감각되지 않은, 감각하지 못했던 언어를 배분함으로써 감각의 세속화를 이끌어 내려 한다. 그것은 무수히 많은 서정들이 조율해 놓은 감각의 공리들에 비한다면 초과이거나 미만이다. 벼리고 다듬어 누구도 가 닿지 못하는 초극의 언어 대신, 존재 그 자체의 실재성을 지시하는 초과와 미만의 언어 전략이 그의 시를 서정으로부터 떼어 내고 있다.
―손남훈(문학평론가)
[차례]
시인의 말
제1부
012 맛있는 라면 조리법
013 어른 척척척
014 벌레 먹은 이빨들의 방언―김수영을 추억함
016 모음들의 모임
017 가래의 힘
018 ○인의 그림자
020 떼는목
022 콜럼버스의 신대륙은 인도였다―말의 뿌리를 찾아서
024 정통한 집
026 꽃과 별의 집에 관한 투기 효과
027 ‘가’라는 판의 조합
028 시각의 덫
030 지퍼의 전횡사
032 말의 쓰임새에 관한 보고서
제2부
036 거울의 문
037 태양과 맞선 날
038 비트박스를 개봉하는 3가지 방식
040 양파
042 밀양 박쥐
043 김밥천국
044 정치한 수사의 바로미터―형용사의 지위에 대하여
046 손
048 문명은 문맹의 텍스트였다
049 즐거운 오독
050 고양이 야마카시
052 따뜻한 파두
054 여러 논객의 사설에 따르면
제3부
056 날개의 연대기
058 냄비들의 후일담
060 물고기 강의실
062 신체 분절과 지각의 사용 매뉴얼
065 다시 쓰는 별주부전
066 잠자리 부부 중계석
068 질과 입에 얽힌 관계의 맹점
070 엘리베이터 엘리게이터
072 아이나비 속으로
074 명검의 사회학
076 오래된 거울―「은교」 속으로
078 투명한 극지
080 난해한 주파수
081 다운타운 증후군
제4부
084 감성의 돔을 짓다
086 오징어 링을 찾아서
088 카르멘의 자유를 사랑하십니까?
090 매미의 계절
091 소금의 유혹
092 New-sugar 뉴스입니다
094 선장힐책(禪杖詰責)
095 부류별 처세법
096 영화는 범죄의 형식이다―「범죄와의 전쟁」 속으로
098 늑대의 비밀
100 오늘 저녁엔 뭘 먹을까?
102 방귀를 읽다
103 똑똑하다
해설
104 손남훈 환은유의 연쇄, 세속적 시의 탄생
펴낸곳 (주)천년의시작
주소 (100-380) 서울시 중구 동호로27길 30, 510호(묵정동, 대학문화원)
전화 02-723-8668 팩스 02-723-8630
이메일 poemsijak@hanmail.net 홈페이지 www.poempoem.com
천년을 움직이는 젊은 영혼의 詩-
(주)천년의시작 / 계간 『詩作』
---------------------------------------------------------------------------------------------------------------------------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